라틴어 문장 수업 - 하루 한 문장으로 배우는 품격 있는 삶
김동섭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틴어는 지금은 죽은 사어라고 하지만, 아직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언어이다.

영화, 책에서 라틴어 문장이 나오기도 하며, 영어 같은 서양 언어를 배울 때에도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라는 설명을 읽을 수 있으니까.

나는 오히려 라틴어가 사어라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이기도 했다.

이렇게 곳곳에 등장하는 라틴어를 보며 한번 배워보고 싶었다.

영어와 같은 알파벳을 쓰고,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들도 많으니 못 배울 것 같지는 않았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오래전 언어이다 보니 문법 같은 게 생소할 것 같아서 쉽게 접근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이 책으로 라틴어를 훑어보고자 했다.



<라틴어 문장 수업>은 하루 한 문장으로 라틴어를 배우자고 하는데, 총 275문장이 담겨 있다.

이 책의 장점 중 하나가 바로 문장으로 공부한다는 것이다.

처음 언어를 배울 때 단어를 달달달 외웠던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고 그것이 그리 좋은 경험은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옛날 그 전성기 시대 로마의 문장과 여러 격언, 잠언으로 라틴어를 배우니 라틴어를 배우는 것 자체가 더 멋있게 느껴졌으며, 라틴어를 배우면서 철학적 생각을 하기도 하고 역사적 지식도 습득하게 되었다.



책의 첫 문장부터가 인상적이다.

'천천히 서둘러라 (Festina lente)'인데, 보면 바로 알 수 있듯 모순적인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이 문장이 무슨 의미를 전하고자 하는 것인지 알 수 있었다.

이 문장은 저자의 좌우명이기도 하다니 나 말고도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적인 문장일 것이라고 본다.

천천히 서둘러라.

모순적인 의미를 지닌 이 경구는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좌우명이다.

(...)

사람들은 아우구스투스를 한낮 애송이로 생각했지만 그는 야심을 지닌 젊은이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자기가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정확히 구분하여 한 발씩 실행에 옮겼다.


p.23

이와 함께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한 시간인 크로노스(Chronos)와 카이로스(Kairos)를 이야기하는데, 크로노스는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시간을, 카이로스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시간을 말한다고 한다.

그중 카이로스에 대한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일단 그(카이로스)는 외모가 특이하다.

앞머리는 길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얼굴을 분간할 수 없게 만들고, 뒷머리는 대머리이다.

사람들이 카이로스를 발견하면 그의 앞머리를 잡아채어 자신의 시간, 즉 기회를 포착하려고 한다.

하지만 기회는 순간에 잡아야 한다.

앞머리를 놓치면 뒷머리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카이로스의 뒷머리는 대머리다.

지나간 기회는 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


p.24


저자는 라틴어의 뜻과 문법을 표를 활용하여 설명하면서도 사진자료를 더해서 해당 라틴어 문장과 관련된 역사와 철학을 이야기한다.

그렇기 때문에 라틴어 공부를 하며 어렵긴 해도 지루하지만은 않았던 것 같다.

라틴어의 기본인 알파벳과 발음 등에 대해서는 뒷부분에 간단하게 적어놓고, 마지막에 부록으로 라틴어 공부 시 도움이 될 사이트와 어휘 변화 정리표를 넣었으니 이것도 활용해 공부하면 더 좋겠다.

나도 다시 책의 처음으로 돌아가 하루에 한 문장 더 꼼꼼히 공부해보고자 한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