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논어>는 기업의 리더 서재에 있는 책으로 유명한데, 도대체 무슨 책이기에 성공한 사람들(특히 리더들)이 <논어>를 읽었으며 지침으로 삼는지 궁금했다.
하지만 재미있지도 않은 데다 한자가 줄줄이 있는 책을 읽는 것은 시작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읽어야 할 책 목록에 넣어두기만 했었는데, 이번에 현대지성에서 <논어>를 출간하면서 <명상록>에 이어 <논어>도 현대지성 클래식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저번에 <명상록>을 읽었을 때에 잘 읽었기 때문에 <논어>도 실망시키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옮긴이는 <논어>의 해석에도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하는데, 아래 사진에 있는 예시를 보면 약간의 해석 차이가 이렇게 다르게 다가오는구나 싶었다.
문자 자체뿐만 아니라, 배경과 공자 사상을 고려해서 위배되지 않게 해석했다고 하니 믿음직하기도 했다.


기존의 논어 해석과 다른 부분은 옮긴이가 왜 이렇게 해석했는지 하나하나 해설을 해준다.
해설을 보면 한자가 얼마나 포괄적인 문자인지 알 수 있다.
<논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책 가장 뒤에 있는 해제를 먼저 읽는 것을 나는 추천한다.
해제에 <논어>에 대한 설명과 각 편의 요지가 있으며, 공자와 그 시대에 대해서도 알려주니 이것들을 먼저 알고 본편을 읽으면 좋을 것이다.

논어 해제에서도 옮긴이가 말한 것처럼, 지금 보면 이해 안 되는 말도 그 시대 상황을 알게되니 왜 공자가 이런 말을 했던 건지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책을 읽으며 공자는 왜 이렇게 '충'을 강조할까 궁금했는데, 당시는 하극상이 끊임없이 벌어져 불안정한 상황이었고 그로 인해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기에 공자는 안정된 나라를 위해 '충'을 강조한 것이었다.
이런 것들은 단순히 '말의 해석'만 가지고는 알 수 없으니 배경지식이 필요한데, 옮긴이가 이런 배경을 알려줘서 좋았다.
말은 상황의 영향을 받는 것이고,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야 할 필요도 있다.
그러니 그때 필요한 말이었다고 해서 지금도 그런 것은 아닐 수 있는 것이다.
왜 리더들이 <논어>를 읽었는지, 지침서로 옆에 두기도 하는지 알 것 같았다.
지혜롭게 읽으면 도움이 될 책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