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라야의 지하 비밀 도서관 - 시리아 내전에서 총 대신 책을 들었던 젊은 저항자들의 감동 실화
델핀 미누이 지음, 임영신 옮김 / 더숲 / 2018년 6월
평점 :
뉴스난에서 시리아에 대한 소식이 간간이 보였는데, 기사 대부분은 무너진 건물과 다친 아이들의 사진이 한께인 안 좋은 소식들이었다.
하지만 드물게 감동적인 소식도 있었는데, 시리아에서 목숨을 걸고 구조활동을 하는 '하얀 헬멧' 기사였다.
내전 중인 시리아 마을 다라야, 폭격의 잔해에서 찾아낸 책들, 그 책들을 모아 지하에 만든 도서관.
전에 읽었던 시리아의 상황을 알리는 기사와 '하얀 헬멧' 기사 가은 책을 거라는 감이 이 책을 읽기 전부터 들었다.

저자 델핀 미누이는 프랑스 출신 기자이지만, 딸과 함께 터키 이스탄불에서 거주하고 있다.
이 책은 내전 중인 시리아 마을 다라야에 대한 책이지만, 다라야는 봉쇄 지역이었으므로 저자가 직접 다라야에 갈 수는 없었다.
하지만 기술 덕분에 상태가 좋지는 않아도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다라야의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었다.
폭탄으로 인해 무너진 폐허의 잔해 속에서 책들을 찾고 지하 도서관을 만든 사람들 중 하나인 아흐마드와 주로 소통을 했지만, 청년 병사 오마르, 사진과 영상으로 다라야의 상황을 알리는 샤디, 연인이 떨어지기 전에 준 두 권의 책을 읽으며 연인 제이나를 생각하는 후삼, 아흐마드와 다라야 사람들의 정신적 지주 우스타즈...
여러 사람들이 책에 등장하며 저자와 이야기를 나눴다.

저자와 소통을 하는 사람은 주로 아흐마드였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특히 오마르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오마르는 혁명 이전에는 학생이었지만 학업을 중단하고 자동소총을 쥐게 되었는데, 병참선 모래주머리 뒤에서 책을 읽으며 버텼다고 한다.
수많은 폭탄이 하늘에서 떨어지고 전쟁 소리에 잠을 자기도 힘든 다라야 사람들은 책이 하나의 도피처이며 의지할 곳이었을 것이다.
잔해 속에서 찾아낸 종이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PDF문서를 다운로드해 읽기도 했다.
다라야 사람들이 읽은 책 중에 <레미제라블>같은, 다라야의 혁명군이 염원하는 혁명이 배경이 되는 책도 있지만,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 많이 읽혔다는 게 의외였다.
하지만 희망적인 책의 내용과 더 실제적인 글로의 도피라는 것을 알게 되니 이해가 됐다.
전쟁은 역효과를 낳았어요.
사람들을 변하게 하고 감정과 슬픔, 두려움을 죽였어요.
전쟁하고 있을 때, 사람들은 세상을 다르게 바라봅니다.
독서는 이러한 기분 대신 살아갈 힘을 줍니다.
우리가 책을 읽는 것은 무엇보다 인간성을 유지하려는 것이에요.
p.73
저자는 이스탄불에 있는 프랑스 문화원에 주기적으로 딸과 함께 구연동화를 들으러 가는데, 그 장소도 다라야의 도서관처럼 지하에 위치해있다.
책에 둘러싸인 지하 공간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다른 분위기가 두드러진다.

안과의였던 알 아사드는 눈이 먼 것처럼 폭탄 투하 명령을 내리고,
다라야가 봉쇄된 뒤 사람들은 책을 적극적으로 읽으며 더 넓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는,
평화를 위해서 전쟁을 해야 하는 것만큼이나 아이러니한 부분도 기억에 남는다.

이 책은 전쟁의 어둠 속에서 희망의 빛을 잃지 않으려는 사람들,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특별한 도서관 이야기에 그치지 않는다.
시리아 내전은 시작된 지 수 년이 흘렀음에도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혁명군과 정부의 싸움뿐만이 아닌 외세와 시리아 내 분열된 여러 단체 등이 얽혀 아주 복잡한 문제라서 나도 내전 상황이라는 것 외에는 자세히 알지 못했다.
하지만 이 책은 다라야 지하 도서관과 책 이야기만큼 시리아 내전과 다라야에 대한 분량이 있어서, 시리아 내전 상황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줬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