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철학자 황제가 전쟁터에서 자신에게 쓴 일기 현대지성 클래식 18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상록은 로마의 5현제 중 마지막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적은 성찰의 글로, 유명한 고전이어서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명상록의 명성은 자자해서 나 또한 읽어야 할 책으로 담아두었는데, 그리스어 원전 완역판일 뿐만 아니라 에픽테토스의 명언집 또한 수록되어 있는 현대지성 책으로 읽게 되었다.


(뒤에 수록된 에픽테토스의 명언집)


나에게 명상록에 담긴 글이 의미있게 다가오는 이유는 글을 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로마의 현제 중 한명으로 로마를 잘 다스린 황제였을 뿐만 아니라, 이 글이 전쟁 중에 쓰였기 때문이다.

몸이 힘들면 내면 또한 힘들게 되어 가다듬기가 어려운 법인데, 전쟁이라는 체력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중압감이 상당한 일을 하는 중에도 이런 글을 쓰면서 자신을 채찍질하다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문학책과는 다르게 명상록 본편보다 해제가 앞서 있다.

역자가 쓴 해제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명상록에 대해 설명되어 있고, 명상록에 영향을 끼쳤다는 철학 학파인 스토아 학파의 특징에 대해서도 적혀있어 명상록을 읽을 때 도움이 됐다.


명상록을 읽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철학책으로써 읽을 수도 있고, 명언집이나 잠언집을 읽듯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나는 큰 나라를 통치하는 황제의 내면을 담은 일기를 읽듯 읽었다.

스토아 학파의 철한은 철학책을 접하지 않은 나에게는 어렵게 느껴져서 중간중간에 해제에서 읽은 스토아 학파의 철학을 느끼는 것으로 우선 만족했다.


플라톤학파의 철학자인 알렉산드로스로부터는 누구에게 말하거나 편지를 쓸 때 "내가 너무 바쁘다"라는 말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자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생겨나는 의무들을 바쁘다는 핑계로 자꾸 회피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배웠다.

p.33

명상록은 위같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주변 사람들의 좋은 점을 나열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마치 안네의 일기에서 안네가 주변 사람들을 소개하는 것을 떠올리게 했다.

(소개의 성격과 목적은 전혀 다르지만 말이다.)

자연스럽게 나도 주변 사람들의 좋은 점을 떠올리게 됐고, 앞으로도 좋은 점들을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문장들이 '알았다'로 끝나는 것은 의아했는데, 이유가 있었다.

주석을 보니 그리스어 본문에는 동사가 없는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겸손한 사람으로 단지 자신이 그들에게서 본 장점을 말하고 있다고 역자는 말했다.

그래서 '배웠다'가 아닌 '알았다'로 역자가 섬세하게 번역한 거였다.


이성을 지닌 존재에게는 본성을 따라 행하는 것은 곧 이성을 따라 행하는 것이다.

p.132

너를 괴롭히고 고통을 안겨주는 것들 중에서 많은 것들은 전적으로 네 자신의 생각과 판단에 기인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너는 그런 불필요한 괴로움이나 고통을 스스로 제거할 수 있다.

(...)

p.184


명상록 속에서 지금 나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많은 말들을 보며 밥알을 하나하나 씹어 넘기듯 수 많은 말들을 새겼다.

수 많은 명문들의 향연에 몇 번을 읽어도 소화해야 할 문장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명상록은 항상 곁에 두고 읽을 만한 책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