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최신 개정증보판
김정희 지음 / 혜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학창시절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다.

여러 문자와 숫자가 복잡하게 얽힌 문제들을 보면 '뭐라는 거야?'하는 생각과 함께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막막했고, 푼다고 해도 속도가 느려서 시험을 볼 때면 항상 시간이 부족했다.

노력했지만 성적은 오르지 않았고, 그래서 수학이란 나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존재였다.

저자인 김정희 작가도 어렸을 때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했다.

심지어 수학 문제를 풀지 못했다는 이유로 뺨까지 맞았다고 한다.

하지만 중학교 입학 후에 수학에 점점 재미를 붙이게 됐고, 나중에는 한켠에 서서 수학 문제를 푸는 '아마추어 수학자'가 됐다.

나는 저자보다는 한참 뒤에, 더이상 억지로 수학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됐을 때 수학이 다르게 보였다.

특히 중고서점에서 제목이 눈에 들어와 펼치게 된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를 읽고 수학뿐만 아니라 수학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됐다.

그래서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던 저자가 취미로 수학을 즐기는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읽고 싶었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1장은 저자의 이야기가, 2장에는 주요 수학자를 통해 보는 수학사와 수학 이야기, 그리고 3장에는 수학 공부에 대한 조언이 담겨있다.

2장이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수학에 관심이 많지 않은 사람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수학자들을 통해 간단하게 수학사를 짚었다.

이들으 이야기는 수학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데, 특히 오일러가 그랬다.

왕성한 연구 활동으로 두 눈의 시력을 잃었음에도 계속해서 연구를 이어간 오일러의 열정!

인상적이지 않을 수 없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페르마는 정치가를 직업으로 한, 아마추어 수학자로 시작했지만 널리 이름을 알렸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로울 것이다.

수학에 대한 책이니 어려울 거란 이미지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이 책은 수학을 깊게 다루지는 않아서 중학교 과정을 마쳤다면 이해하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

때문에 수학에 대한 지식이 어느정도 있는 사람보다 평범한 사람, 수학에 막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람들이 읽으면 좋겠다.

3장의 수학 공부에 대한 조언은 특히 중고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이 책은 현재 수학 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고생뿐만 아니라, 수학과는 전혀 관계없이 사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쓰였다.

오히려 나는 성인들이 이 책을 즐기길 바란다.

나와 같은 처지에 놓여있는 아이 엄마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아기를 키우느라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자괴감에 시달릴 때, 홀로 생각할 시간을 찾고 싶을 때, 우리는 수학을 만날 수 있다.

아기가 생기는 순간, 우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세게에 홀로 놓이게 되고 때로는 집중력마저 잃게 된다.

그럴 때 단 한 가지 문제에 몰입하는 걸로 흐트러진 집중력을 다시 되살릴 수 있다.

p.45


수학사를 통해 새로 알게 된 것들이 많았다.

순식간과 찰나라는 말은 다르지 않은 것으로 생각했는데, 순식간은 10의 16승 분의 1이고 찰나는 10의 18승 분의 1로 찰나가 더 짧은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언어와 수학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됐다.



수학은 과학의 여왕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람들은 수학과 과학을 무척 밀접하게 보고, 수학은 딱딱하고 이성적인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본 수학은 문학적이기도 하고 예술적이기도 했다.



또 수학은 철학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했는데, 곳곳에서 철학적인 부분을 만날 수 있었다.

인상깊었던 것은 시간의 상대성에 대한 부분이었다.

살면서 한 번쯤은 생각하게 되는 것이 시간의 상대성인데, 소설을 통해서 이야기한 시간의 상대성은 나의 의문을 어느정도 해소해줬다.

그리고 현재의 빠른 삶, 나이가 들수록 더 빠르게 느껴지는 시간의 흐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앨리스, 여기서는 제자리에 있고 싶으면 죽어라 달려야 한단다.

주변 세계도 함께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지.

만약 네가 앞으로 나가고 싶다면 지금보다 훨씬 빨리 달려야할 거야."

 시간은 왜 자꾸만 빨리 흘러가는 걸까? 사람들은 왜 더 바빠지기만 하는 걸까?

p.215~216

 


책은 10년도 더 전에 출간되었는데, 내가 읽은 책은 이번에 혜다 출판사에서 낸 개정증보판이다.

이저너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책에 적혀있는 저자의 상황과 예시를 보면 적지 않은 부분이 보충되었다고 느꼈다.

처음 책을 썼을 때 20대였던 저자는 이제 아이 셋의 엄마가 되었다.

에필로그와 1장에 적힌 저자 김정희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가슴이 아리기도 했다.

앞서 말했듯이 2장의 수학 이야기가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저자 이야기가 많지 않은 게 아쉬웠다.

김정희 작가 이야기를 좀 더 읽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잣기를 계속해 간다.

'거미는 자신의 실로써 공간의 자유에 이른다.'는 말을 가슴에 새긴 채.

이 문장은 시적이지만, 수학적이기도 하다.

유클리드 기하학에 빗대어 말하자면, 거미는 점이며 실은 선이다.

거미줄은 정교해질수록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된다.

(...)

집안 구석에서 거미줄을 짜서 삶의 다채로운 무늬를 발견하는 것, 이것이 나의 노동이다.

p.15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