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 디자인, 디자이닝, 디자이너의 보이지 않는 세계
홍동원 지음 / 동녘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디자이너, 그것도 출판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아트디렉터의 책이라기에 먼저 책을 손에 쥐고 이리 굴리고 저리 굴리며 디자인을 맛봤다. 서점 가판대를 쌩하니 지나가는 독자도 멈춰 세울 것만 같은, 단순하면서도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디자인이다. 비록 '비둘기 똥구멍'이라는 원색적인 단어에 잠시 멈칫하게 될지라도 이는 본문에서 그 뜻을 납득할 수 있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생각해 볼 때 이 원색적인 단어 하나로 책의 내용을 축약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본 적도 없으며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는 데다가, 그 정체조차 불확실한 '비둘기 똥구멍'은 디자인을 맡기는 클라이언트의 무리한 요구를 상징한다. 땅에 두 발 붙이고 걷는 사람이, 어떻게 하늘을 날으는(그것도 눈 깜빡이면 눈앞에서 사라지는) 비둘기의 뒷태를 감상하고 그걸 눈에 담았다가 그려내겠는가. 그렇다, 이는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디자인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나서거나 결과물을 뽑아낼 수 없는 요구를 한다거나 하는 류의 클라이언트들을 말하는 것이다. 흔히 하는 우스갯소리를 예로 들자면 고작 천원을 쥐어 주면서, '가서 떡볶이랑 순대, 튀김 사오고 거스름돈 꼭 받아와' 라고 무리수를 던지는 것과도 비슷하다 하겠다.

 책의 저자는 외국에 유학을 다녀오기도 하고, 꽤 오랫동안 이 나라의 디자인 세계에 발 붙이고 살면서 꽤 느낀 것이 많은 듯 싶다. 앞서 언급한 '비둘기 똥구멍'을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부터 디자인을 돈 주고 맡긴다는 개념이 없는 일부 관행, 디자인을 경시하는 문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야기를 쏟아낸다. 특히 저자는 '우리 고유의 것'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컴퓨터 상의 한글 문서 작성 프로그램, 신문의 한글 활자체, 일본의 기무치가 그 자리를 넘보고 있는 우리나라의 김치 등 마땅히 이것들을 지키고 장려하며 발전시켜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들이 손 놓고 있을 때, 저자는 '디자인'과 '우리의 것'이라는 명분만으로 사람들을 끌어 모아 작업을 한다. 큰 댓가가 따르는 일이 아님에도 그가 발 벗고 나서는 것은 명예 때문이 아니라, 자고 일어나면 무언가가 휙휙 바뀌는 세상이라도 지킬 것은 지켜내야 한다는 신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이러한 신념은 우리나라 디자인의 현실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분명 디자인은 중요하다. 같은 값이라면 당연히 예쁘고 멋지며 눈길 가는 것을 고르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저자의 말처럼 짝퉁 디자인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으며, 미키 마우스나 아톰 같은 캐릭터를 만들어 낼 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며, 30년 만에 바꿔 다는 자동차 번호판의 숫자 디자인조차 예산을 다 써버리고도 완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밖에도 저자가 본문 곳곳에서 찝어 낸 소소한 문제도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디자인에 인색한걸까? 가끔 신문이나 잡지의 칼럼 등에서 저자와 같은 류의 발언을 하는 것을 읽은 적이 있다. 그때마다 생각해봐도,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해도 사실 잘 모르겠다. 대대적인 '디자인 부흥책'이라도 해야 하는건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저자가 현실에 대해 비판만 할 것이 아니라 디자인계 혹은 디자인계를 둘러 싼 환경이 어떻게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식의 수줍은 대안이라도 내놓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디자인은 쉬우면서도 어렵다. 한입 베어먹은 사과 하나를 그려넣거나, 단지 체크무늬를 벅벅 그려놓았을 뿐인 상품에 사람들은 열광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까짓 사과 대충 그린거네 뭐'하는 생각이 들 법도 하지만, 사람들 눈에 콕 박힐 만한 그 단순한 그림 하나를 쥐어짜내기 위해 디자인을 하는 사람은 얼마나 많은 밤을 새웠을까. 이를 생각해본다면 디자인 세계를 둘러 싼 일들에 대해 조곤조곤 설명 하듯이 혹은 호소하거나 비판하는 듯이 날을 세운 저자의 마음이 십분 이해가 간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나니, '디자인을 쉽고 재미있게 썼다'기 보다는 '디자인의 곤욕'에 대해 강의를 들은 듯한 여운이 남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디자인의 모난 면 뿐 아니라 재미있고 즐거운 면에 대해서도 알게 된 것 같아 만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