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타워>의 첫인상은 아찔함과 독특함이었다. 아스팔트의 열기가 거리를 잠식해 오는 초여름에 만난 빨간색의 표지라니, 게다가 지상 674층짜리 마천루 국가(일명 '빈스토크')가 배경이니 체감할 수 없는 높이와 소재가 주는 아찔함과 독특함이 나로 하여금 한껏 기대를 하고 첫장을 열게 만들었다. 첫장을 열며 생각했던 독특한 국가 빈스토크를 위시로 한 엄청나게 독특한 이야기는 사실 없었다. 분명 배경도, 행정시스템도, 사상도 매우 이질적이면서 독특했지만 그것들을 아우르는 '이야기'는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과 별 다를 바가 없었다. 권력의 이해할 수 없는 움직임과 그 성질, 인간들 간의 반목, 이기적인 인간군상의 면면들 모두 지금 내가, 우리가 겪고 있는 것과 비슷한 모습이었다. 실제로 어느 대목에서는 이것이 허구를 그린 소설인지, 9시 뉴스를 받아적는 것인지 갸우뚱할 정도로 흡사한 이야기도 있었다. 나는 특정한 대목에서는 뜬금없이 뒷장을 뒤적여 펴낸 날을 확인하기까지 했다. 혹시, 얼마 전 일어난 Y시 에서의 사건을 모티브로 해서 쓸 만한 기간이 있었던가 하는 생각까지 들었기 때문이다. (아마 책을 읽은 분들이라면 어느 부분인지 알 것이다)

 이처럼 이야기는 허구적이면서도 현실적이다. 그렇게 엄청나게 독특한 이야기는 없으면서 현실과 별 다를 바 없는 이야기면서도 <타워>는 지루하지 않았다. 빈스토크라는 이상하면서 특이하고 유쾌해보이기까지 하는 마천루 국가에 자연스럽게 현실을 녹여냈기 때문이다. 우리가 9시 뉴스의 헤드라인에서 접하는 그 소식들이 전혀 다른 배경에서, 전혀 다른 인간들에 의해 사건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꽤 재미있다. 보통 사람의 상식 선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뇌구조를 가진 권력자들의 유전자는 아무리 높은 곳에 올라가도 변형되지 않는 것인지, 어쩜 '저지르는' 일은 여기 아래서나 빈스토크 위에서나 똑같다. 아주 약간의 정신이상과 돈, 욕이 섞인 일방적인 명령을 할 수 있는 것이 권력자들의 전통적인 자격요건이라도 되는 것일까? 권력자들의 힘을 그리면서도 왠지 그들의 멍청함을 슬며시 드러내 독자의 '킬킬거림'을 유도하는 것 같은 작가의 블랙유머가 <타워>의 백미였다.

 하지만 역시, 사람이란 어두운 면보다는 밝은 면에 더 끌리는 모양이다. 블랙유머 식으로 빈스토크의 윗동네(상류사회)를 그려내던 다른 단편도 즐거웠지만, 나는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약자들에게는 똑 부러지게 매정한 국가가 개인에게 등을 돌렸을 때, 개개인이 모여 하나의 국가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해 마침내 구원의 손길이 되는 것을 보며 나는 희망의 희열을 느꼈다. '그래도 이 사회에 정의는 살아있다!'는 류의 대사까지 치기엔 약간 난감하긴 하다. 하지만 수많은 개개인들이 거미줄처럼 하나로 엮여 결국 해내고야 말았을 때 나는, 곰팡이 핀 윗동네가 이끌어가는 현실이지만 그래도 이런 개개인이 있으니 어쨌든 살아갈 수 있는 것 아니겠냐는 희망을 느꼈다. (어쩌면 희망고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타워>는 우리의 세계를 빈스토크라는 빌딩국가에 꽉꽉 채워넣은 것 같은 소설이었다. 우리의 세계가 빈스토크의 세계로 치환되어 있었다. 거울을 보는 것처럼 읽어내려간 <타워>. 작가는 우리의 터전에 무례하게 서식하고 있는 곰팡이같은 것들에 대해 빈스토크라는 유쾌한 설정을 통해 에둘러 말했지만, 그 숨겨진 뾰족함은 생각보다 세밀했다. 우리의 윗동네에도 이 뾰족함에 제 발 저릴 사람들이 꽤 있을 것 같아 난 킬킬 웃으며 책장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