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교회 잔혹사
옥성호 지음 / 박하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초교회 잔혹사』를 읽고

 

 

1.아기사자의 추억
수년 전에 한 포털 사이트 종교 게시판에서 유명한 무신론자가 있었다. '아기사자'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던 그는 무신론자임에도 해박한 성경 지식과 논리력으로 기독교를 변호하는 기독교인을 꼼짝 못하게 만들곤 했다. 그는 한마디로 종교 게시판을 주름잡는 영웅이었다.

 

그의 직업은 의사였지만 어느날 개신교 대형 교단 산하의 신학대학원에 입학했음을 알렸다. 한때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가 교회에서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은 후로 무신론자가 된 그가 신학대학원에 입학한 이유는 교회 목사가 되어 막대한 돈을 벌겠다는 것이었다. 그가 보기에 교회만큼 사기쳐 먹기에 안성맞춤인 동네는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잘만 하면 크게 해 먹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던 그에게 여의도의 조 목사는 좋은 롤모델이었다.

 

가끔 아기사자는 어디서 어떻게 사역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지곤 한다. 그런데 그의 근황을 예측하게 하는 소설을 읽게 되었으니, 부족한 기독교 시리즈의 저자로 알려진 옥성호의 소설 『서초교회 잔혹사』다.

 

 

2.사자 사냥꾼 김건축
아기사자가 목회를 하고 있다면 이 소설에 나오는 김건축 목사와 다름이 없으리라. 공교롭게도 김건축 목사는 아프리카에서 불법 사자 사냥을 즐긴 것으로 나온다.

 

C. S. 루이스의 소설 『나니아 연대기』에서 사자는 예수를 상징하는 존재로 나오는데, 김건축 목사는 사자를 총으로 쏴죽이고 사자의 머리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그의 적그리스도적 정체를 드러내고 있었다. 김건축 목사의 총부리는 정확히 예수의 목을 향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 「오멘」에서 인간 악마가 나오는데, 김건축 목사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살아있는 악마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닐 것이다. 그만큼 이 소설에서 그려지는 김건축 목사의 인간상은 성경에서 말하는 사탄 즉 거짓의 아비를 닮아 있다.

 

 

3.백치 장세기
소설은 '장세기'라는 부목사의 관찰자 시점에서 전개된다. 서초교회의 원로목사인 정지만 목사에게 발탁되어 청년부를 맡게 되지만 정지만 목사의 은퇴 후, 김건축 목사의 수족 노릇을 하게 되는 인물이다. 소설의 핵심 카메라는 살아있는 사탄 김건축이기보다 김건축의 사기행각에 대한 부목사들과 신도들의 반응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그 중에서 관찰자인 장세기의 심리적 갈등이 중심 축을 이루고 있다.

 

장세기는 기본적으로 순수하고 평범한 신앙인이다. 그러나 사탄 김건축 앞에서 그는 백치임을 드러낸다. 김건축의 사기행각을 두 눈과 귀로 확인하지만 생존이라는 문제 앞에서 철저하게 선악 간의 판단력을 잃어버리고 김건축에게 중용되는 것을 하나님의 기도 응답으로 받아들인다. 사탄의 앞잡이로 일하게 된 것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우리는 여기서 자신의 욕망이 채워지는 지점에서 거짓을 합리화하는 인간의 내면과 신앙인의 무지함을 발견한다. 아니, 장세기의 경우 의도적으로 합리화했다기보다 무지했다고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거짓과 손잡았다는 사실을 장세기 자신은 전혀 자각하지 못했다. 단 한번도 김건축을 의심하지 않은 실체없는 글로벌미션의 조력자로 살아간다. 김건축 일당의 만행으로 정지만 원로목사가 소천하게 된 순간조차 김건축에게 인정받을 기회라고 생각했다. 장세기에게 있어 김건축은 하나님과 다름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백치 장세기에게도 인간적 슬픔은 남아있었다. 김건축을 구주로 삼고 따라가지만, 눈 앞에서 펼쳐지는 부조리한 현실의 한 켠에서 끊임없이 눈물이 흐르고 욕이 나오는 분열을 경험한다. 장세기는 신앙의 이름으로 자신을 기만한 욕망의 벽 안에 갇혔다. 그 벽을 뚫고 흘렀던 뜨거운 눈물은 그에게서 발견한 일말의 희망이다.

 

 

4.소나무야 소나무야
여느 소설처럼 인물과 배경에 대한 세밀한 묘사가 있기보다 사건 전개, 인물간의 대화, 심리 묘사가 주를 이루었음에도 이 소설이 주는 즐거움은 컸다. 개인적으로 폭소를 터트렸던 부분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 소설이 담고 있는 서초교회의 모습이 단순히 허구에 그치지 않고 한국 교회의 현실을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서초교회 잔혹사』라는 제목만큼이나 잔혹한 내용이 아닐 수 없었다. 특히 김건축과 그를 따르는 부목사, 장로들의 어딘가에 실재할 것이라는 개연성은 우리로 하여금 경악하게 만든다. 한국의 대형 교회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사기극은 김건축의 서초교회보다 더 심각하고 거대한 수준임을 생각하면 한국 교회는 이미 살아있는 사탄, 김건축들의 손에 넘어갔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이제 진실은 교회의 가장 큰 이단이 되었다. 허구를 통해 진실을 전달하고 있는 이 책은 '서초교회'에서 금서로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 사기극에 가담한 자들은 숨어서 이 책을 읽을 것이다. 과연 이 책이 그들에게 거울이 될 수 있을까. 강남의 한 대형 교회는 이 책의 저자를 향해 고소를 준비하고 있다고 알렸다. 그 교회의 이름이 서초 교회가 아닌데,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은 자기네 교회가 이 소설 속의 서초교회이며 자기네 담임목사가 김건축임을 자인하는 꼴이 아닌가. 과연 이들에게 장세기의 눈물이 남아 있을까. 그들도 김건축을 만나기 전에는 순수하고 평범한 신앙인이었으리라.

 

뜬 눈으로 사탄에게 교회을 빼앗긴 잔혹한 오늘날, 우린 누구를 탓해야 할까. "소나무야 소나무야 언제나 푸른 네 빛" 장세기가 떠올렸던 이 노래는 변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상실감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 노래의 슬픔을 하나님 들으사, 푸르렀던 교회의 빛을 되찾아주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