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쳐 - 양자와 시공간, 생명의 기원까지 모든 것의 우주적 의미에 관하여, 장하석 교수 추천 과학책
션 캐럴 지음, 최가영 옮김 / 글루온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강한 환원주의(물리주의)적 입장이 아닌 자연(물리적 대상)과 인간의 가치 체계를 구분하는 온건한 환원주의를 스스로 시적 자연주의라고 명명하며 그에 기반한 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서술해 가고 있다. 전반부는 자신의 시적 자연주의가 코어 이론을 중심으로 베이즈 추론에 근거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그에 따라 현대 과학에 대한  설명을 한다. 후반부가 이 책의 특징적인 부분인데 바로 인간의 가치 체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는 부분이다. 인지 과학(인식론)과 윤리학의 문제들에 대한 저자의 의견들이 나름 풍부한 분석철학의 배경 지식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철학적 시야가 대부분 그가 대학 시절 배운 미국 언어분석철학으로 제한되어 있어 어쩔 수 없이 당시 패러다임의 유행하던 사고 체계에 묶여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그는 과감하게 당시 분석철학들의 문제들에 대해 나름의 논평도 펴는데 존 설의 중국어 방 실험에 대한 논박은 훌륭하나 나머지 문제들에 대한 논평들은 열의는 좋지만 기본적인 논리적 오류에서 나오는 잘못된 내용들이다. 아울러 끝부분의 윤리학에 대한 그의 글은 별다른 특징이 없는 일반적인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나름 자연과학과 인문학(철학)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소개한 후 마지막에 나름의 세계관과 인생관을 펴면서 끝맺고 있으나 나로서는 그의 책이 방대한 분량과 열의에 비해 별다른 특징이 없는 일반적인 내용에 머문 느낌이다. 그가 말하는 시적 자연주의라는 것은 사실 제한된 환원주의에 다름아니고 이는 대체로 오늘날 지식인들의 일반적인 자연관이다. 나쁘게 말하면 겸손한 현실 수용적 불가지론의 학술적 포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욕심같아서는 저자가 대륙철학과 형이상학과 미학(예술)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있었더라면 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내용의 책이 되었으리라는 느낌이다. 결과적으로는 미안하지만 용두사미라고 냉정하게 평가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일반적인 교양 과학 서적에서는 볼 수 없는 풍부하고 수준 높은 철학의 문제들(특히 분석철학의 인식론과 윤리학)을 다루고 있기에 특히 이 분야에 대해 낯선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지적 흥미와 자극을 주기에 충분한  보기 드문 양서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의 위협은 실재인가 - 한국 스켑틱 Skeptic 2018 Vol.11 스켑틱 SKEPTIC 11
스켑틱 협회 편집부 지음 / 바다출판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철

54-"아네르스"-안데르스

 

오류

186-"1863년 구아노를 두고 페루와 스페인은 전쟁..."-1863년이 아니라 1864년입니다. 1863년에도 스페인과 페루의 갈등은 있었지만 스페인이 구아노의 확보를 위해 페루의 친차섬을 점령한 것은 1864년 4월입니다 . 이 문제는 1865년 비방코-파레하 조약으로 해결이 되지만 페루의 정권이 1865년에 이그나시오 프라도로 바뀐 이후 다시 악화되어 페루, 칠레, 에콰도르, 볼리비아 4국 동맹을 체결하여 스페인에 전쟁을 선포합니다. 이 전쟁은 1866년에 4국 동맹이 승리하여 스페인으로부터 페루의 독립을 승인받는 것으로 끝나게 됩니다.

 

1. “SETI의 시작을 읽고

  드레이크 방정식에 대한 과대평가는 과학계에서 볼 수 있는 비과학적인 현상의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방정식은 7개의 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당연히 방정식은 아직 미처 생각하지 못한 훨씬 더 많은 계수를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한 없이 늘어선 계수들이 정리된다 해도 대부분의 계수들은 필자의 말대로 그 값을 알기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드레이크 본인도 외계의 지적 존재의 가능성에 대해 과학적이자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과학의 언어인 수식으로 표현하는 시도를 한 것뿐인데 이런 제스처를 몇몇 사람들이 냉정을 잃고 다소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방정식에 대한 우스꽝스런 과대평가를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방정식을 만드는 의도 자체는 당연히 과학적인 발상이다. 그러나 이 방정식은 아직 위의 말대로 대단히 부족하고 실질적으로 거의 의미가 없는 상태이다.

식을 만들려는 의도와 발상에 대한 과학적 공감이, 방정식 자체의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지는 않는다. 여기에는 비과학적인 편견에서 나온 과대평가가 들어있다.

 나의 짐작에 불과하지만 아마도 그동안 비현실적인 공상과학소설의 대상이었던 외계지적존재에 대해서 과학적인 접근을 만난 것에 대한 반가운 마음이 과대평가의 한 축이 된 것 같고, 저자의 표현대로 단순한 수식이 갖는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와 편견도 한 몫을 한 것 같다. 이렇게 과학 활동에 비이성적인 정서가 작용하는 것이 좋게 보면 과학 발전의 뜻하지 않은 촉매가 될 수도 있겠지만 안타까운 비과학적, 비이성적 반응인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2. “무신론의 세가지 카테고리에 대한 반론

  저자들은 유신론과 무신론을 마치 좌표의 양수와 음수처럼 도식화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려다 보니 유신론의 믿음이라는 성격을 무신론에도 적용하여 본질적으로 같은 절대값으로 대칭을 만들고 있다.

 잘 보자. 신이 있다고 믿는것은 자신이 지각하고 있지 않지만 즉 근거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반면에 신이 없다고 믿는것은 자신이 지각하지 못하기에 있음의 근거가 없으므로 당연히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두 문장에서 믿음이라는 단어가 쓰였지만 사실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인 것이다. 전자는 근거가 없는 신념이라는 뜻이고 후자는 현상에 대한 논리적 귀결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실 두 번째 문장은 일상적인 의미의 믿음이라는 단어를 쓰면 안 되는 경우다. ‘없으니까 없죠라는 사태 진술을 없으니까 없다는 것을 믿는다라는 문장으로 억지로 믿음이라는 단어를 넣어서 전자와 같은 신념 진술의 위상으로 옮기는 재진술을 유도한 것이다. 이런 경우에 후자의 믿음없음에 대한 믿음이 아니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논리에 대한 믿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위상의 믿음을 저자들은 같은 의미의 절대값으로 환산하여 축의 양 끝에 붙여 넣어서 아름다운대칭의 도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영지주의적(일반적인 인식으로 알 수 없는 것을 안다고 하니까 이야말로 영지가 아니겠는가?) 유신론이라는 종교 현상의 그래프상 대칭점에 같은 절대값의 무신론을 그려 넣고 똑같은 영지주의 무신론이라는 형용 모순의 명칭을 부여하며 무신론이 유신론과 같은 종교 현상이라고 말하는 논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달리 신령스러운 지식을 통해 인식 못하는 것이 아니다. 결국 저자의 글은 자신이 만든 도식에 현상을 정리해서 넣으려다가 도식에 맞게 현상들을 변형하고 왜곡하게 된 전형적인 비과학적 오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바흐 : 평균율 클라비어 1권 [2CD]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작곡, 에마르 (Pierre-Laurent / DG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리히테르 다음가는 최상급의 평균율... 너무나 반갑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