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 그림을 볼 때 그림 옆에 쓰여 있는 한자 글귀 내용이 궁금했다. 그 글귀 속에서 어쩌다 아는 글자 몇 개로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림을 보는 것보다 그 글의 내용을 더 이해하고 싶었다. 정민의 책을 읽고 유홍준의 책을 읽어도 그 갈증은 해소되지 않았다. 그러던 중에 만나게 된 책이다.

 위에 나온 책과 내가 가진 책은 표지가 다르다. 위의 책과 마찬가지로 2011년에 아트북스에서 나왔지만 뒤에 나온 책이라 그런가보다.

 모두 26개의 그림과 시를 소개하고 있다. 김홍도 최북 강세황  안견 심사정 김정희 정선 등의 이미 많이 알려진 그림 뿐만 아니라 박제가 장득만 허필 등의 그림도 있다.

 두번 째 그림/시 장득만의 <송하문동자도>에 쓰여진 시는 가도의 <심은자불우>에 대한 얘기이다.

 

 "소나무 아래서 동자에게 물었더니,

   말하길, "스승께선 약초 캐러 가셨어요.

  이 산속에 계신데,

  구름 짙어 어딘지 알 수 없어요.""

 

 이어서 '시정을 어떻게 그리나'라는 꼭지글에서 저자는 말하고 있다.

 

 "애당초, 시를 그림으로 그려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어려움은 오래도록 여러 각도에서 이야기되어왔다. 우선, 시간의 흐름 속에 드러나는 시간예술 문학을 어떻게 공간에 펼쳐내는 공간예술 그림에 옮길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는 이 시와 그림에도 적용된다. 시인의 질문과 동자의 답으로 진행되다가 구름 자욱한 산을 바라보는 방문객의 망망함으로 끝을 맺는 흐름, 그 시간적 전개에서 드러나는 운치와 소박한 해학을 한 폭의 그림에서 전달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형상을 묘사한 언어표현이라면 그림이 전하기 좋지만, 언어로만 전달되는 추상의 개념을 그림으로 전하기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시인이 은자를 말하기 위하여 은잘를 저 깊은 산속에 숨겨버렸듯이, 그림이 이 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시에서 중요한 무엇을 반드시 숨겨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옛그림 속의 글귀가 화가의 창작문이 아니라 대체로 중국 고사나 사서삼경 속의 글귀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 큰 소득이었다. 우리 옛그림과 그 속의 글들의 관계를 볼 때, 그림감상이 중할까, 글 속에 담고 싶었던 뜻이 중할까. 물론 둘 다 중하겠지만, 책을 덮으면서 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