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소설가의 고백 - 세상의 모든 지식을 읽고 쓰는 즐거움
움베르토 에코 지음, 박혜원 옮김 / 레드박스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옴베르토 에코의 <푸코의 추> 때문에 에코와 미셀 푸코가 한번씩 헷갈린다. 또 에코와 파울로 코옐로도 '예'가 들어가는 통에 헷갈리기도 하구.

 책을 시작하자 마자 저자는 말한다. '제목을 보고 의아해 할 만도 하다'고. 이어서

 

 "...세상에는 두 종류의 시인이 존재한다. 하나는 열여덟 살에 자기 시를 모두 불태워버리는 좋은 시인이요, 다른 하나는 평생 시를 쓰는 나쁜 시인다."

 

 후 웃음이 났다.

 그 다음 꼭지 '창작이란 무엇인가?'에서 저자가 토머스 아퀴나스의 미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했을 때, 한 논문 심사위원이 그에게 일종의 '서사의 오류'라는 비판을 가한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나는 어떤 학문에 대한 책이건 일종의 추리소설, 즉 어떤 종류의 성배聖杯를 찾는 탐구 보고서처럼 써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역시 대가 다운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딱 펼쳤을 때, 혼자 나도 모르게 큰소리로 웃었다. 첫번 째 단락 제목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쓰기' 때문이었다. 그렇다. 글쓰기의 가장 기본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기가 아닌가하는 생각에서였다. 가장 흥미진진했던 부분은 네번 째 '궁극의 리스트'였다. 부제부터 좋았다. '진짜 좋은 책은 두 번, 세 번 읽어도 새로운 해석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중간중간 밑줄 친 부분을 옮겨본다.

 

 "나는 내가 목록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몰랐던 것 같다."

 

 "좋은 목록이 갖는 단 하나의 진정한 목적은 무한의 관념과 '기타 등등'의 현기증을 전달하는 것이다."

 

 "사실 호메로스는 완전하고 유한한 형태에 대한 묘사와 불완전하고 잠재적으로 무한한 목록에 대한 묘사 사이의 아름다운 대조를 보여준다."

 

 "불안함은 수집된 대상들의 부조화가 커질수록 더 증대된다."

 

 "이와 같이 형태는 성숙한 문화의 특징이고, 그 문화는 자신들이 성공적으로 탐험하고 정의한 세계를 잘 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목록은 원시적 문화의 전형이다. 원시적 문화는 아직 우주에 대한 상이 모호하고, 할 수 있는 한 우주의 많은 속성들을 항목으로 정리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러한 항목들 사이에 위계적 관계를 세우지는 못한다."

 

 

이런 목록들 중에서  조이스와 보르헤스의 목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호메로스가 목록에 의지했던 이유는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충분히 보여줄 단어들이 부족했고, 형언불가의 토포스가 수세기 동안 목록의 시학을 지배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이스와 보르헤스가 만들어낸 목록들을 보면 말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서 그런 목록을 내놓은 게 아니었다. 그들은 과잉에 대한 애정과 충동적인 오만, 단어에 대한 탐욕 그리고 무한한 열거가 주는 쾌락(그리고 드물게는 강박적인), 과학을 향한 욕심에서 사물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목록은 세계를 개편하는 방법이 되어, 이질적인 사물들 사이에서 새로운 관계를 끌어내기 위해, 그리고 어쨌든 상식이라 통용되는 것들에 의구심을 던지기 위해 속성의 축적이라는 테사우로의 방법론을 실천한다...목록을 정말로 불안하게 만드는 것은 분류 항목들 중에 '이 분류에 포함되는 동물'이 있다는 사실이다."

 

 

 "자신을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이 표준이고 (모든 고양이가 포함된 집합은 고양이가 아니라 개념이다) 자신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 비표준이라면(모든 개념이 포함된 집합은 개념이다), '모든 표준 집합의 집합'은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이러한 목록들이 소설에 꼭 필요한 요소일까 생각하게 한다. 그에 대해 어느 정도의 대답으로 저자는 말한다.

 

 "진정으로 혼돈스러운 목록은 오직 시로만 작성될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소설가들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얘기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일종의 뼈대를 설계하여 어떤 부조화적 요소도 뼈대 안에서 어떤 식으로든 다른 모든 요소들과 '접착면'을 갖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소설에서의 목록과 열거에 대해 그 의미를 생가해보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