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쪽같은 내 강아지, 어떻게 키울까? - 13년차 반려견 훈련사 왈샘이 알려주는 반려견 교육법
박두열 지음 / 푸른향기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8살, 9살 고양이와 1~2개월 아기 때부터 지금까지 함께 살고 있다. <금쪽같은 내 강아지>를 <금쪽같은 내 고양이>로 읽을 수 있었다. 반려동물과 함께 살다 보면 개나 고양이나 사람이나 다 거기서 거기다. 우린 모두 살아있고 생각하고 사랑하고 웃고 울고 행복하고 먹고 자고 볼일 보며 산다. 


이 책은 나의 강아지는 개인가, 반려견인가? 13년차 훈련사 왈샘이 알려주는 반려견 교육법에 관한 책이다. 나의 고냥이는 고냥이인가? 반려묘인가?


처음 이 아이들을 키울 때 공부를 좀 했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마음이 들었다. 예쁘다는 이유로 키우기 시작했고 살아오면서 그 아이들과 나는 서로에게 적응했다. 나는 함께 사는 고양이들을 잘 안다고 할 수 있을까?


최소 3개월은 어미에게 기본적인 예절을 배워야 하는 데 일찍 분양하여 문제가 발생한다. 낯선 상황에 낑낑거려도 무관심하게 밥과 물을 주고 장난감을 조금씩 주고 독립성 있게 지내준다면 점차 없어진다. 안쓰럽다고 만져주고 보듬어 준다면 당시에는 안정을 취해도 점차 낑낑거림이 심해지고 짖음으로 발전한다고 한다(중요!)


어린 아기가 안전장치 없이 온 집안을 기어 다니면 안 되듯이 반려견도 울타리를 써야 한다. 울타리를 처음에는 8개를 썼다면 그다음엔 16개, 24개로 늘려간다. 배변을 80~90% 정도 잘 가린다면 넓혀도 된다.  이건 정말 처음 알았다. 그래서 배변 교육을 실패하는구나.(이것도 중요!)


자연스럽게 독립심과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라는 말씀인 듯하다. 크게 보면 아기 사람도 얼추 비슷할 것 같은데....


강아지 키우실 분들은 꼭 알아야 할 상식, 혹은 우리가 평소 궁금했던 내용들이 빼곡하다. 나도 개들은 왜 그렇게 핥는지 궁금했다. 입술이나 손을 핥는 이유는 무엇일까. 목욕을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 반려동물을 키우면서도 하나하나 알아가야 했던 것들, 그들에 대해 여전히 모르는 것들이 있다. 책을 읽고 나니 반려묘보다 반려견을 더 많이 알 것 같다. 



이 책에는 직접 실연을 해 보아야 하는 부분에는 큐알코드로 영상을 첨부했다. 



반려동물 인구가 1500만이라고 한다. 그중에 우리 집도 포함되어 있다. 반려견이나 반려묘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교육이 꼭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나도 9년 전에 알았더라면 시행착오를 좀 덜하지 않았을까? 



​요즘 사람 아이들이 대가족 제도하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던 예의범절이나 생활태도도 가르치지 않으면 모른다고 한다.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자연스럽게 살면서 알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러 시간을 내서 따로 배워야 한다. 오늘도 이렇게 반려동물과 행복한 동거를 하는 하는 우리 집을 꿈(만) 꾸며 강아지 키우는 방법을 배운다. 


본 포스팅은 푸른향기 서포터즈로서 책을 지원받아,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로 직접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