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안이라는 중독
저드슨 브루어 지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1년 8월
평점 :
현대인은 불안과 더불어 살아간다. '내일 지각하면 안 되는데 제시간에 일어날 수 있을까', '내일 발표가 있는데 잘 할 수 있을까' 등 우리는 자주 또 많이 불안하다. 책의 제목은 「불안이라는 중독」이다. 불안과 중독 모두 어려운 단어가 아니지만 불안이 중독이라는 게 낯설었다. 보통 중독이라 하면 약물, 흡연.. 등 어떤 물질과 함께 떠오르는데 불안과 함께 붙어있어 더 흥미롭게 다가왔다. 또 책날개에 이런 말이 적혀있다. '불안해서 도저히 운전대를 잡지 못한다. 마감시간이 다가오는데도 일을 미루고 게임을 한다. 스트레스만 받으면 쉼 없이 초콜릿 봉지를 뜯는다. 회의 시간이 닥치면 줄담배를 마구 피운다. … 당신은 불안에 중독되어 있다.' 스트레스만 받으면 쉼 없이 무언갈 먹는 것은 나의 생활 패턴이었다. 그리고 이게 불안에 중독된 것이라니. 너무 궁금해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저자는 심리학에 근거하여 불안에 중독되는 이유와 양상 그리고 그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자신의 연구와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불안에 중독되는 이유는 보상체계에 인한 것으로 보았다. 중독 고리를 끊기 위해 문제 행동보다 더 보상이 큰 행동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게 바로 현재 내가 느끼고 있는 감정, 생각, 상태에 대한 호기심이다. 또, 불안에 중독되는 고리를 '촉발 인자-행동- 결과'로 분석하고 그 고리를 끊는 방법을 1단 기어, 2단 기어, 3단 기어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1단 기어는 불안의 고리를 인식하는 것이고 2단 기어는 중독된 행동을 하고 나서 얻는 것의 주의를 기울이며 행동 보상 기반 학습 체계를 조작하는 것이다. 3단 기어는 대체 행동을 찾아 고리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불안 습관 고리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책을 다 읽고 나서 가장 크게 알게 된 것은 나의 중독된 행동이다. 나는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면 보상이랍시고 단 음식을 먹곤 했다. 또, 할 일이 쌓여있는데도 계속 휴대폰을 바라보곤 했다. 이게 불안에 중독된 상태라는 걸 인지할 수 있었다. 저자는 불안을 느낄 때 바로 행동하지 않고 현재 나의 상태를 알아차리고 받아들이는 것을 제안한다. 그전에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 무심코 무언갈 먹곤 했다. 책을 읽고 난 후에 정말 군것질을 하고 싶은지, 배가 고픈지를 생각해 보니 자연스럽게 손을 놓게 되었다. 그동안 했던 다짐보다 훨씬 효과가 있었다. 나의 중독 상태를 깨닫는 것을 넘어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을 익히고 나름대로 시도해 볼 수 있었다. 오랫동안 고착된 습관을 완전히 이겨내진 못했지만 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습관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했던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운 독서였다.
전반적으로 얻은 것이 많은 독서이지만 특히 좋았던 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일단 불안으로부터 중독된 것을 연습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한 점이다. 꾸준히 좋지 않은 습관을 개선하려고 애썼지만 한 번에 되지 않고 계속 실패하는 나를 위로해 주는 부분이었다. 저자는 오랫동안 고착된 습관을 고치는 것은 어렵고 중독되는 과정을 인식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꾸준히 연습을 해나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 또, 실패로부터 교훈을 얻고 현재의 나를 인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말하는데, 이 부분이 자책했던 그때의 나를 위로해 주고 용기를 북돋아주었다. 두 번째로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불안해야 한다는 통념에 대해 꼬집는 부분이 인상 깊었다. 성공한 많은 이들이 자신의 불안이 원동력이 되어 지금처럼 성공할 수 있었다 말한다. 저자는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어떤 일을 앞두고 불안하거나 조급하지 않으면 비정상적인 사람인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었다. 꼭 그렇지 않아도 된다는 저자의 말이 위로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 계발서처럼 이상적인 말을 늘어놓는 것이 아닌 과학적 연구를 거치고 많은 사람들의 사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더 신뢰가 가고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을 시도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이 좋았던 이유를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첫 번째, 나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며 '나도 불안에 중독된 것은 아닌가'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결 과정 중 하나로 '마음 성찰'을 제시한다. 마음 성찰 과정에서 현재 나의 느낌, 상황, 상태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그 방법에 대해 사례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어렵지 않게 시도할 수 있다. 두 번째, 위로와 해결책 모두 얻을 수 있다. 불안과 중독 행동을 극복한 자신의 환자의 사례를 들어 책을 전개해나간다. 불안을 극복한 여러 사례를 통해 나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저자는 한 번에 중독된 습관이 고쳐지는 게 아니라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방법을 제시한다. 이처럼 책의 곳곳에서 위로와 용기, 해결책 모두를 느끼고 얻을 수 있었다. 세 번째, 두고두고 참고할 수 있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 저자는 과학적 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방법과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불안에 중독된 나의 행동을 성찰하고 고치려고 시도할 수 있지만 한 번에 바뀌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책과 함께라면 꾸준히 참고하며 나의 중독된 행동을 바꾸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자주 불안한 사람 그것을 고치고 싶은 사람, 나의 행동에 대해 성찰하고 싶은 사람 그리고 단순한 위로뿐만 아니라 해결 지침을 제공받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많은 이들과 함께 이 책을 읽으며 불안에 떨지 않고 중독된 습관들에서 벗어나서 좀 더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