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어떤 관청이 있었을까? - 나랏일 돌보던 곳, 관청 이야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역사 깊이 읽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넓게 보기 1
박영규 지음, 구연산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에 부쩍 관심이 많았던 시기가 매스컴을 통해서 알수 있었습니다. 역사에 주류를 이루고 있어 내 아이들이 즐겨보는 정조 '이산'과 '세종대왕'여러종류의 역사책을 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맞게 체험학습도 겸했던 아이들이라 어렵게 다가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항상 궁금증을 책으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찾고 들여다보니 역사에 대해 더 가까워지는 듯 합니다.

 

특히, 아이들이 좋아하는 정조 이산을 빠지지않고 시청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나오는 어휘와 궁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생소할 따름입니다. 그런 아이들이 의금부, 내의원, 도화서,사헌부,포도청 등....있습니다. 임금이 공식적인 행사를 치르거나 업무를 볼 때 이용하는 정전, 편하게 일하는 업무실인 편전, 그리고 신하들이 업무를 보는 궐내각사 등을 들으면서 임금을 보호하고 있는 것들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 밖의 몰랐던 관청들과 나랏일 돌보던 곳을 아직도 생소하지만 이렇게 배워가면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서 궁금함을 해결해 주는 유익한 책입니다.

 

궁궐은 크게 외전과 내전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임금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곳은 궁궐 정문에 가까운 바깥쪽에 두었음을 읽게 되었습니다.

조선 시대 내내 법이라는 것도 있어 보입니다. 거기에 대부분 평민이나 중인의 딸을 뽑았다고 합니다. 그럼 중인은 무엇일까? 궁금한 마음에 알수 있었습니다.

중인이란 조선 시대의 전문직 관리를 말합니다. 여러가지 보조 업무를 맡은 사람들도 증인에 속한다는 것도 말이죠. 궁녀는 이렇게 평민이나 중인의 딸을 택해 궁궐에서 일하도록 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이런 궁녀 중에도 왕의 사랑을 받아 후궁이 되는 경우를 다모 도화서 성송연이를 통해서 내 아이들은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밖의 홍국영의 자리를 보고 병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한성부는 무엇을 하는 곳인지.....여러 밖의 비롯된 하위직들이 있었음을 배워갑니다.

정말 머리가 복잡합니다. 이렇게 많은 궁에 업무가 진행이 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궁 밖의 문지기들을 통과할려면 홍패, 병조들의 움직임을 너무나 궁금했던 일들이었습니다.

거기에도 여로 종류로 분류되어 질서를 지켜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역사를 즐기기 위해서는 시간의 이야기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우선 잘 알아야함을 일깨워 줍니다.

 

내 아이는 포도청이나 의금부에 끌려온 죄인이 포도대장이나 금부도사에게 취조를 당하거나, 사또가 있는 동헌 앞마당에 죄인이 불려와 곤장을 맞는 광경을 보고....

그런 장면을 보면서 우리는 포도청과 의금부가 어떻게 다른지....동헌은 무엇인지....아전은 누구인지 궁금함을 해결해 줍니다.

나도 잘 몰라서 대답해 주기가 곤란했었는데....그런 점을 어른들께 여쭤 봐도 대부분 속 시원하게 대답을 찾지 못한 아이들이 이 책은 그 답을 찾을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지금까지 어른들도 잘 몰랐던 조선 시대의 관청과 그곳에서 일했던 사람들을 통해서 그들의 역할을 다루어 조선이라는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어려운 내용들이 너무나 많아 머리가 찌끈찌끈 거리기도 합니다.

내 아이들도 그렇듯이 이 책은 관청에 대한 이야기들이 어렵게 여겨지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요즘은 쓰지 않는 용어들 때문일 듯 싶습니다.

관청의 명칭이나 벼슬 이름 등이 모두 낯선 것들이기에 그러한 듯합니다. 거기에 모두가 한자 투로된 단어들이 아이들에게는 닫혀있는 듯 합니다. 역사 공부를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이 역사 용어를 잘 배우고 잘 알아야 겠습니다.

이 책은 조선 시대 관청사전이라 해도 좋을 듯 싶습니다. 우리가 사극을 볼 때나 책을 읽을 때 찾아봄으로써 궁금증을 해결해 주니 말입니다.

지방의 행정 조직에 대해 좀 더 자세하고 재미있게 들려주지 못한 부분이랍니다.

그런 이 책은 아이들에게 그치지않고 어른들도 보면 좋을 것으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역사 공부를 좀 더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어서 정말 유익한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