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요한 과학씨 시리즈 11~20권 2세트 - 전10권
다카도우 쇼우하치 지음, 안미연 옮김, 백정석 그림, 김웅서 감수 / 웅진주니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감수- 곽영직 /글-가와사키 유키시게.책깨비 / 그림- 미에다 미나코. 백종민 /옮김- 양선하
 

집요한 과학씨를 만나게 되었다.

과학을 좋아하는 두 아이들이 있습니다. 몇칠째 이 책이 거실에서 굴러 다녔던 책이 아이들은 제목을 보면서

슬쩍 자기 앞으로 가져가서 읽게 되었던 책이였습니다.

내 큰아이는 한때 외계인에 관심이 많았던지라.....읽으라고 하지않아도 자기가 알고 있던 짤막한 지식과

호기심으로 읽을 수 있었던 것이기도 합니다. 외계인 궁금증 때문에 이런 책한권도 소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와 같은 생명체를 같고 있어서 외계인에 대한

X파일을 펼쳐보라고 하니 도대체 어떤 일이 생길것만 같은 기분이 들어 흥미를 자극해 주었습니다.

내 큰아이는 이제 5학년입니다.

그런데 이 책은 2학년~4학년들이 보면 좋다고 되어 있습니다.

초등 1학년은 너무나 어려울 듯 보여서 그런지.......작은 아이는 손이 쉽게 가지 않았습니다.

큰 아이는 관심이 있어서 재미있게 과학을 쉽고 즐겁게 읽어 내려갔습니다.

읽고나서 "엄마, 우주에서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이 나타난다면 적으로 알고 마구 없애 버릴것 같다고 하고 있습니다."

역시, 외계인도 인간이 우주에 나타난다면 생명체라....... 우리들의 인간도 외계인이라고 생각하고 없애려고 무지장

노력할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로인해서 "서로 전쟁이 일어날 듯한 일들이 생길것만 같다고 합니다"....(무서운 두려움에 대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합니다.)

 

큰 우주에 대한 공상이 컸던 아이는 우주에 관심이 많고 여러가지 우주에 대한 관련된 책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 책은 딱딱하고 어려운 과학이 아닌, 재미있고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주고 있습니다.

외계인을 찾을수 없지만 외계인들에게 우리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서 시도해 온 인류의 노력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잘 정리해 주어 지겨운 과학이 즐거움을 선사해 주고 있습니다.

[집요한 과학씨] 는 아이들에게 지식을 주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넓히고자 아이들에게 스스로 호기심을 갖고 지식을 접하게 했습니다.

그 지식이 아이들에게 체화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식을 먼저 내세우기 보다 더 호기심을 키우면서 지식을

접할수 있도록 잘 구성이 되었습니다.

어린이들이 과학책을 읽고 지식과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어린이가 감짝 놀라거나..... 감탄하거나....... 새로운 발견을 한다면 이보다 더 좋은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과학의 즐거운 경험을 우리는 과학관에 다녀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과학의 즐거움은 지식을 하나 아는 것보다 호기심을 키우는 것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내 아이들도 놀면서 만지고, 보고, 느끼고, 생각을 통해서 그 호기심에 대해서 해답을 찾으려는 과정에서 얻는 지적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과학은 역시 몸으로 체험하고 오감으로 느낄때 진정한 과학의 참 맛을 배우게 해 줍니다.

아이들은 이런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접할때 스폰지가 물에 빨아들이 듯이 무섭게 빨라짐을 두 아이들을 보고 배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