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우리에게는 너무나 친숙한 이름 바리데기. 이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그다지 없을 것이다. 나 또한 어린 시절 설화로 접했던 이 이야기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나 버림받았으나 아버지의 병구환을 위해 지옥까지 다녀오게 되는 바리데기 공주. 한국사람이라면 이 바리데기라는 이름만 들어도 ‘아!’ 하는 감탄사를 내뱉게 된다. 그만큼 친숙하고 정겨운 이름이기에 황석영님의 바리데기가 출간되었다는 말에 호기심이 생겼다. 지금 내가 알고 있는 설화와 얼마나 다른지, 이 바리데기라는 이름을 빌려 그가 정말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였는지 말이다.
황석영님의 [바리데기]의 바리는 북한에서 태어난 일곱 번째 아이다. 내리 딸만을 보았던 이 집에 일곱 번째 아이도 딸이자 그만 아버지가 보기도 전에 어머니는 그 딸을 버리려하지만 그 사실을 알게 된 흰둥이는 이 아이를 데려오고 이로 인해 이 아이의 이름은 바리가 된다. 이름이 바리여서 그랬을까? 그녀의 삶은 그리 순탄치만은 않다. 간부인 아버지로 인해 그래도 그나마 다른 사람들에 비해 좀 더 풍요롭게 살 수 있었지만 외삼촌이 남한으로 도망갔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아버지는 어디론가 끌려간다. 그리고 그 일을 계기로 해서 가족들이 모두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이 일로 인해 할머니와 현이, 바리는 중국으로 건너오게 되고 얼마 안 있어 할머니와 현이마저도 저 세상으로 떠나게 되고 같이 북한을 넘어왔던 칠성이와 함께 가족들을 찾으러 북한으로 떠나게 되지만 거기서 칠성이와도 헤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중국. 이곳에서 발마사지를 배우게 되고 그 일을 하게 되지만 그것도 잠시 다시 긴 여정을 떠나게 된다. 그리하여 도착한 곳은 영국. 이곳에서 바리는 남편도 만나게 되지만 삶의 순간들이 녹록치 않다. 9.11 테러로 인해 이슬람교도인 남편이 동생을 찾으러 떠나게 되고 그가 떠난 후 낳게 된 딸아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의 곁을 떠난다.
바리데기의 이야기는 이러하다. 한낱 희망이라는 것이 없어보이는 현실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설화속에 나오는 바리데기 공주가 아버지의 병을 고치기 위해 여정을 떠나지만 그 누구도 거기서 희망을 발견하지 못한다. 이렇듯 이 황석영의 이야기에서 읽으면 읽을수록 기구한 바리데기의 인생 여정을 볼 수 있다. 가족과 헤어지고 힘들게 도착한 영국에서도 그녀는 그리 행복해보이지만은 않아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과정 속에서 희망을 찾을려고 노력하는 바리데기의 모습을 이 책에서 보여주려한다.
또한 이 책에서는 지금 우리의 현실을 보여준다. 암울하고 어두운 세계 이면을 보여주어 아직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는 고통받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보려주려한 것 같다. 내가 너무나도 편하게 있는 이 순간 누군가는 고통을 당하며 그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고통들이 비단 그들만이 져야하는 그런 고통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하고 같이 아파해야하는 고통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 바리데기는 일종의 영매능력도 가지고 있다. 죽은 이들의 모습을 보고 발을 만짐으로 그들이 살아온 인생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보인다. 이것은 바리데기가 그들의 마음을 치유하고 같이 아파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기 때문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게 한다. 또한 이 책에서는 지옥이란 다른 곳에 있지 않고 우리 마음속에 있음을 이야기한다. 지금 이 순간이 너무나 힘들고 어려운 상황일지라도 그 속에 희망이 있고 서로를 보듬으며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이 있다면 그 순간 우리 마음속에 있었던 지옥이 어느새 사라지고 없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보여주려 했나보다. 질시하고 반목하는 현 시대에 대해 그러한 마음을 버리고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마음이 아픔을 치유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우리는 늘 우리 문제에 아파한다. 다른 사람들의 고통이 무엇인지 지금 현 시대에 어떠한 아픔이 있는지는 관심 밖이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하고 그들을 돌아보아야할 때 그렇지 못한 우리의 모습을 바리데기를 통해 보여주려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도 누군가는 아파하며 힘들어하는 데 그러한 것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