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방
알렉스 존슨 지음, 제임스 오시스 그림, 이현주 옮김 / 부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작가의 방」 책을 손에 쥐자마자 탄성을 질렀다. "아니 너무 이쁘잖아?"

편집자가 이 책을 만들기까지 얼마나 공을 들였을지 짐작이 되었고 그 과정은 확실하게 기쁘고 벅찬 마음이었을거라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 책이 나올 수 있겠는가.

「작가의 방」은 제목에서처럼 우리가 알고 있던, 혹은 몰랐던 세기의 50인 작가들이 치열하고 외롭게 글을 썼던 공간을 보여준다.


그곳은 침실일 수도 있고 서재일 수도 있고 카페나 차 안, 혹은 절벽에 아슬하게 매달려 있는 창고일 수도 있는데 공통점이 있다면 작가들은 언제 어디서나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그저 글을 썼다는 얘기다.


개인적으로 「작가의 방」이 좋은 건 책 안에 작가들의 방을 그려놓은 일러스트 때문이다. 글로만 설명되어 있다면 아무리 상상력을 발휘해도 한계가 있었을텐데 옆에 귀여운 그림이 붙여지니 이해하기가 훨씬 쉬웠고 마치 작가의 방을 실제로 훔쳐보는 기쁨까지 들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가 있다면 반드시 이 책을 펼쳐보시길.



작가의 고유한 루틴과 장소를 알아가는 재미


이 책이 흥미로운 이유를 하나 더 말하자면 작가들의 고유한 습성, 루틴, 리추얼을 알 수 있다는 거다. 어떤 작가는 새벽에 일어나 6시부터 정오까지 집중하며 일했고 그 뒤에는 산책하고 밥먹고 다시 오후에 글을 쓰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고, 애거사 크리스티는 욕조에 몸을 담궜을 때 가장 줄거리를 구상하는 가장 이상적인 순간이라고 했다. 힐러리 맨튼은 또 어떤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 차에 타고 있는 것과 상관없이 메모를 하고 글을 쓰는 유연함을 보여줬고 주디스커는 전화, 손님 등 방해요소를 피해 다락방 집필실에서 은둔하면서 글쓰는걸 즐겼다고 하니 정말 다양하고 가지각색의 방법으로 작가들은 자신만의 장소를 소중히 여겼다.



특히 미국 소설가 이디스 위튼은 침대에서 글쓰기를 즐겼는데, 자서전에서 "내가 계속 글을 쓰려면 지켜야 했던 사소한 의무들로부터 벗어날 자유를 줬기 때문에" 집은 그가 글을 쓰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고 회고했습니다. 침대에서는 편히 있을 수 있고, 글을 쓸 때 어느 누구의 방해도 받을 필요가 없으니까요.(p79)라고 할 정도로 집을 좋아하고 인테리어에도 관심이 많은 작가였다.



「작가의 방」을 읽다보면 단순하게 작가가 글을 쓰는 방의 개념에서 벗어나 작가가 추구하고 사랑했던 것들, 이를테면 가족, 연인, 친구, 반려동물이라던가 반대로 사소한 의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은둔했던 방법들까지도 알 수 있는데 이게 참 매력적이다.



아내이자 엄마로서 역할과 작가로서의 본능에 균형을 잡아야 했던 실비아 플라스는 그 많은 집안일을 해내고 아이들이 잠든 밤을 아껴가며 글을 썼고 영국의 낭만파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는 오두막을 지어 세상과 집의 떠들썩한 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피난처(p192)에서 그의 대표작들을 썼다.


모두들 할 수 있는 선에서, 하고자 하는만큼 자신의 영역을 성실하고 치열하게 지키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이 「작가의 방」은 꼭 순서대로 읽을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우선 내가 가장 좋아하고 호감가는 작가들의 방부터 구경하면 그 뒤에 전개될 다른 작가들에게도 자연스럽게 감정이입이 된다.

나의 경우엔 <에밀리 디킨스> <마거릿 애트우드> <실비아 플라스> <빅토르 위고> <브론트 자매>의 방이 제일 궁금했고 흥미롭게 읽었다. 특히 <브론트 자매>의 이야기를 보자면-



요즘 작가들은 작가실이라는 개념에 친숙합니다. 여러 작가들이 한곳에 모여 드라마를 쓰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그런데 150년 전 브론테 자매도 작가실과 아주 비슷한 공간을 썼답니다. (p223)



이 첫 문장에서 가슴이 두근두근, 다음 장을 넘기면 그들이 함께 쓰고 서로 읽어주고 토론회를 열었던 공간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이 부분은 직접 확인하시길 ^^) 머릿 속에 이 공간을 기억하고 글을 천천히 읽어 내려가면 《제인에어》 《폭풍의 언덕》 이 과연 여기서 탄생한 거구나 싶은 실재감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