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하는 일에도 돈은 필요합니다
이랑 지음 / 창비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나드 쇼가 말했다.

은행원들은 모이면 예술을 말하고, 예술가들은 모이면 돈얘기를 한다고.


책 제목 ‘좋아서 하는 일에도 돈은 필요합니다’에서 직접적으로 알 수 있듯 감독이자 작가이자, 공연자이자 보험설계사 자격증을 취득한, 한 달 수입 30만원 프리랜서 이랑의 이야기다.


작가의 모니터 옆 포스트 잇에는 주로 원고 보내야 할 곳과 돈 받을 곳이 적혀 있다. 영감, 아이디어, 번뜩이는 재치가 적혀져 있을 것 같은 책상에 돈이, 당장 필요한 생활비가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게 현실이어서 작가는 이런 주제로 본인의 이야기를 솔직히 적어 내려갔다.


언뜻, 예술과 돈은 플렉스처럼 화려하고 사치처럼 관계인 듯 보이기도 하지만 작가 이랑이 얘기하는 바는 꽤나 현실적이고 정확해서 책을 읽는 내내 창작이란 무엇인지, 예술 노동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이 주어졌다.


이렇게까지 솔직해도 되나싶을 정도로 민낯의 이야기와 어느 누가 정해 놓은 지 모르는 고정적인 원고료, 혹은 인터뷰 페이를 스스로 높이려는 노력이 멋져 보이기까지 한다.


결국 좋아서 하는 일에 반드시 필요한 건 돈일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든다. 공감, 하트, 좋아요 이 모든 것들은 결국 돈이 되어 돌고 돌아야 창작자가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 자본 없는 예술은 힘이 없고 대중을 설득할 수 없다. 아니, 창작자에게 결코 창작을 줄 수 없단 생각이 든다. 아무리 대중이 내 글과 음악을 좋아한다 해도 돈을 내 책을 사지 않고, 음악을 듣지 않는다면..


<본문중>


-이 일을 하며 자주 들었던 말은 “네가 좋아서 하는 일에 왜 자꾸 돈 얘기를 하냐.”였다. 내가 지금까지 해 왔고 앞으로도 할 일들은 돈을 벌어 먹고살게 하는 내 ‘직업’이라는 것을 사람들은 모른다.


- 올해 3대 질환 보험에 가입하며 설계하는 과정을 살펴보니, 직접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라면 공연과 행사로 바쁘게 보낼 봄철에, 금융 공부만 잔뜩 하고 있자니 이 상황이 스스로도 신기하고 재밌다. 새로운 일을 하면 새로운 언어를 갖게 되고, 새로운 언어를 가지면 새로운 힘이 생긴다.


창작인과 보험은 참 어울리지 않는 조합처럼 느껴지지만 코로나19 시대에 살아 남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바꾸어야 한다고들 하는데, N잡러에서 +1의 직업을 갖는게 뭐가 큰 대수냐도 싶다. 중요한건 내가 좋아하는 일을 부디 오래 지속하기 위해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니까. 그렇다면 이랑 작가는 참 열심히 사는 예술인이 틀림없다. 적어도 내가 글에서 읽고 느낀 바는 그러니까.


독자에게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여줬고, 내가 자극을 받았고 이렇게 글을 남긴다.


부디 생활인으로서는 더는 불안해 말고 다양한 창작 활동을 보여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