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기적을 부르는 나이 - 발간 10주년 기념 개정판
박미자 지음 / 들녘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생, 기적을 부르는 나이



내 인생에 가장 아름답고 재밌던 추억은 언제였을까?

아마 가장 아름다웠던 건 첫사랑을 했던 중학교 때 였고

가장 재밌었던 건 사내들만 모여있던 고등학교 때가 아니였나 싶다.

30년간 중학생과 함께 울고 웃으며 중학생들을 대변 하는 교육자로서 '중학생이 예쁘게 느껴진다. 중학생의 행동이나 말의 이면에 있는 속마음을 보살펴주고 싶다”라고 말한다.



사실 나는 그 과정을 겪고난 후 다실 겪을 일은 없지만 내 조카의 다가올 중학생시기를 위함이다.

순전히 미래를 위한 좋은 길을 다져줄수 있지 않을까 했다.

자녀가 있는 집에서는 꼭 읽어봐야 하는 필수 책이 아닌가 싶다.

내 자녀가 놓인 상황을 내가 해결해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적절하게 나타나 있다.


흔히 '눈에 보인다'라는 말을 많이한다.

타인이 어떠한 상황이 주어졌고 그 것을 예상했던대로 진행 했을 때 쓰는 말이다.

보통은 부정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쓰여지곤한다.

나이가 어릴수록 이러한 상황이나 말은 더 많이 쓰여지고 우리는 그것을 발견하지만

성장하는 시기니 자의로 해결하기위해 회피하기도 한다.

모든 것을 해결해줄수 없는 어른들의 방법이 곧 회피가 된다.

그것이 학교폭력이든 사춘기 시기든 말이다.

충독적이고 감정기복이 심해지는 시기에 우리는 왜 아이들을 홀로 냅두는 것일까

어른들이 해결해 줄수 없는 문제가 있을지몰라도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해결해줄수 있는 부분들이있다.

그것이 제도적으로도 말이다.



한번 어긋난 물길은 다시 되돌리기 참 힘들다는 것을 내포한다.

분명 겪은 어른들이라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그 시대의 아이들도 각각 다르다.

나의 아이에게 최선과 최고의 길을 안내하려고 하지만

우리 부모들은 많이 모른다.

그래서 어떻게 가르쳐야할 지 모르니 학교에만 방치되어버린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저자는 말한다.

다시 오지 않을 예쁜 꽃이 필 시기라고.

꽃이 예쁘게 필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가 해야하는 덕목에대해서 알려준다.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아닌 부모에게 해주는 조언을 수록한다.

단지 나와 세대 차이가 난다고해서 그냥 지나치지 말것을,

혹은 그들이 스스로 해결해 나가야된다고 생각하지 말것을 강조하며 이 책을 마무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