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게임 - 유동성과 부의 재편
이낙원 지음 / 원앤원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플레이션 게임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다.

첫 째로 경제의 흐름을 읽고자 정확하게 알고 2023년 경제상황을 대비하여 더 나아갈 것.

두번 째로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했던 내게 지금에서 인플레이션이란 제목으로 책을 출간한 저자의 목적을 알고 싶었다.

흔히 지금은 물가는 올라간 동시에 경기는 침체되었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안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코로나19 팬데믹이 온 시점과 그로인해 발생한 경제상황을 말하는 것 같았다.,

2020년 1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세계보건기구는 30여 일만에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에 감염 공포와 함께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가질 않으니 소비는 당연히 내려가기 마련이었다.

그리고인해 생산은 중단되고 실업은 증가했으며 N포세대를 넘 다양한 변화가 왔었고

공급이 되질 않으니 원자재의 값은 당연히 올라가며 물가가 시솟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미국 연준은 2020년 3월 다급히 기준금리를 내리게 되었다.



실생활에 필요한 원자재나 물품 뿐만아니라 주식, 부동산, 귀금속, 심지어 암호화폐까지 상용화 되어 오르락 내리락 하는 롤러코스터가

전 세계적, 모든 자원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것이 내가 겪었던 내 인생의 첫 번째 공포이자 경제상황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치만 이 책의 첫 부분에 나와있듯이 경제상황은 언젠간 오르게 된다는게 내 생각이었고 목표로 자리잡았다.

1997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그랬다.

경제상황이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상황이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표로 봤을 때 결국 모든 분야의 경제상황은 상향된 상태의 결과치를 반영했다.

결국 '반복되는 유동성의 파도'라고 작가는 일컫는다.

나의 생각도 그러했다. 그래서 2020년 코로나가 시작될 시점 많은 경제서를 읽으며 '자산'과 '투자'의 개념을 다시 쌓아가며 경험을 다졌었다.


40여 년 만에 가장 가파른 인프레이션이라고 연준은 말한다.

그로인해 들어본적도 없는 자이어트스텝으로 금리를 인상했고

공포에 휩싸인 나날을 보내게 된다.

이 공포는 태풍과 같다고 생각한다.

태풍이 365일 지속될 수는 없다.

언젠가 태풍은 걷히며 다시 화창한 날로 돌아올 것이라 믿는다.

'인플레이션'이라는 현재의 경제상황을 읽자.

읽고난 뒤의 앞으로 다가올 경제상황을 꼭 대비해보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