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가 사라진 날 ㅣ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01
신민재 지음 / 길벗어린이 / 2020년 10월
평점 :

예쁜 그림에 쉽게 읽힐 것 같은 그림책이었지만 막상 책장을 펼치고 보니 결코 가볍게 읽을 수 없는, 묵직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것이 우리 아이들의 현실이고 어쩌면 어른인 우리 또한 한때 거쳐왔던 시기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나무가 사라진 날>의 줄거리를 살펴보자면 초록색 머리를 한 나무는 집 앞 공원 숲에서 노는 걸 좋아하는 기운 넘치는 아이다. 에너지 넘치는 나무는 매일 친구들과 노느라 집에 늦게 돌아오는 일이 잦다. 이런 나무를 보고 엄마는 보자마자 잔소리부터 늘어놓기 시작한다. "왜 이리 늦었어", "숙제는 했어?", "공부하라니까" 등등
엄마의 꾸지람에 주눅이 든 나무는 방으로 들어가 하기도 싫은 숙제를 하고 억지로 공부를 해야 하는 상황. 결국 아이는 울음을 터뜨리고 몸이 점점 굳어지면서 딱딱한 의자가 되어 버린다. 그런 줄도 모르는 엄마는 나무를 찾기 위해서 온 집을 뒤지다가 의자가 되어버린 나무를 발견하고 아이를 되돌리기 위해 노력하지만 아무도 나무가 의자가 되어버린 사실을 믿어주지 않는다. 아무런 방법을 찾지 못한 채 엄마는 나무가 좋아하는 공원 숲으로 의자를 안고 가고... 거기서 나무와 평소 놀던 아이들을 만난다. 아이들은 나무가 의자가 되었다는 말에 조금의 의심도 없이 의자와 함께 숲에서 놀기 시작하고... 아이들이 떠나고 의자와 엄마만 남게 된 어두운 밤에 이르러 엄마는 의자가 된 나무에게 "우리 같이 별을 바라본 게 너무 오랜만이다. 미안해"라며 진심 어린 사과를 하게 된다. 엄마의 진심이 전해지자 의자에서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며 딱딱했던 의자는 다시 나무로 돌아오게 된다는 마법 같은 이야기다.

부모 된 입장에서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이 아팠다. 자식의 마음을 조금 더 헤아려주지 못하는 엄마. 자식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 이야기들이 잔소리가 되어 나무에게 상처가 되어 박혔다.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엄마들은 한결같이 내 자식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공부해라~"를 입에 달고 산다. 돌이켜 보면 부모가 된 어른들도 어릴 적 그런 소리를 듣고 자랐고 그런 잔소리가 듣기 싫어서 반항하기도 하고 상처 입기도 하며 컸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내 자식에게 또 같은 말을 하게 된다는 사실이 참 모순되지만 어른이 된 지금에서 생각해 보면 그런 잔소리들이 모두 애정에서 비롯되었음을 왜 모르겠는가.
가만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특히나 현재의 행복보다는 미래를 위해 그 행복을 포기하고 미루는 경향이 큰 거 같다. 공부해라~ 훌륭한 사람이 되어야지~ 이런 이유로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학원을 쉴 틈 없이 돌리고 "좋은 대학 가야지~" "다 널 위해서 그러는 거야"라며 미래의 행복을 위해 삶을 끊임없이 채찍질한다. 대학을 가면... 취업을 위해서 또 현재의 행복을 포기하고... 취업을 하면 결혼을 위해, 결혼 후엔 자녀를 위해, 노후를 위해... 끝이 없다. 도대체 행복은 언제 누릴 수 있는 걸까.
아이들에게 "공부해라"고 강요해 본 적은 없다. 왜 지금의 행복을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포기해야 하는가.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현재에 충실하고 지금 행복하면 좋겠다는 주의다. 한 번뿐인 인생인데 보다 행복하고 보다 즐겁게 살아야 하지 않을까. 대단한 사람이 되기보다는 자기 앞가림하면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이 되면 그만이다.
초등학생이 밥 먹을 시간도 없이 학원을 다니느라 피곤에 절어 있고 코피를 쏟으며 공부의 압박감을 견디다 못해 옥상으로 올라가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가끔 접할 때면 너무도 가슴이 아프다. 잘 되라고 했던 말들이 수많은 상처가 되어 결국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만든 건 아닐까. 조금만 쉴 틈을 주면 좋을 텐데...
<나무가 사라진 날>은 어쩌면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읽어야 할 책이다. 내 아이에게 평소 어떻게 행동하고 어떤 말을 쏟아내는지 점검해 볼 수 있게 만드는 책이다. 부모와 자식 간에도 서로 마음을 터놓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소통이 되지 않으면 어디선가는 곪고 썩게 되는 것이다.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며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 싶다.
지금도 상처로 힘들어할 나무들이 얼마나 많을까...
이 땅의 모든 아이들이 지금 이 순간 행복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