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과는 잘해요 ㅣ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빨간책방을 통해 알게 된 작가 이기호.
이동진 영화 평론가가 '소리나는 책' 코너에서 언젠가 읽어준 그의 단편들은 정말이지 너무 기발하고 웃겼다.
이렇게 책을 쓰는 사람도 있구나, 싶어 관심이 가던 차에 어제 우연히 들른 중고서점에서 그의 첫 장편집을 발견하고 망설임 없이 샀다.
실망스럽게도(?) 내가 전에 들었던 단편 조각 모음들의 기발한 단어 조합으로 인한 재미는 굉장히 적었다.
어쨌든.
책의 내용은 시봉과 나를 둘러싼 폭력과 죄 그리고 그에 선행 또는 후행된 사과의 연대기라고 볼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폭력은 죄없는 사람도 죄인으로 만든다는 말도 떠올랐고 그에 관련된 오래된 일화인 황희 정승과 여종의 이야기도 생각났다.
이야기는 대강 이렇다.
하루는 황희 정승이 집에서 쥐가 배를 훔쳐가는 걸 보고 제 몸집보다 커다란 걸 옮겨가는 게 안됐기도 해서 그냥 넘어갔는데 다음날 부인이 여종을 호되게 꾸짖고 체벌을 가해 없는 죄를 자백하게 만든 것을 목격한 이야기다.
심리적, 언어적, 신체적 가학은 분명 옳지 않다.
특히 무고한 사람에게 죄를 씌우기 위한 가학은 절대적으로 나쁘다.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고문을 통한 자백은 허용되지 않으며 이는 또한 법적 근거로도 채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실제 많은 사람들에게 고문은 죄의 고백 및 심판에 굉장히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많은 사람들이 그 효과를 인정하고 있다.
이 또한 현실과 이상의 괴리이다.
또한 이 책은 묻고 있다.
살아있는 동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죄인 것인가.
유명한 동화작가셨던 고 권정생 선생님도 말씀하셨다.
살아있음은 지속적으로 다른 살아있는 것들에게 죄를 짓는 것이라고.
이렇게 생각한다면 살아있는 순간 모두는 폭력의 역사이고 우리는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
책의 나와 시봉이 혼란스러웠던만큼 죄의 무게와 범주는 생각하면 할수록 점점 나를 혼란스럽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