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인간
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지음 / 예담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KBS 다큐멘터리 필름 공부하는 인간, 호모아카데미쿠스를 엮어낸 책이다.

왜 인간은 공부를 하며 그 의미는 어디서 찾을 수 있고 동서양의 서로 다른 국가에서 공부는 무엇이며 어떻게 공부를 하고 왜 공부를 하는지 그리고 차이점이 있다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등등 공부에 대한 질문 및 그 기원을 찾는 프로그램이었나 보다.

난 그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없다. 

2011년 또는 2012년에 나온 모양인데 그 때 한국에 있지도 않았고 있었다 해도 TV를 잘 보지 않으니 몰랐을 것 같다.

어쨌든 굉장히 흥미롭다.

나 또한 사람은 죽을 때까지 공부를 해야 하는 존재구나, 라고 막연히 생각한 적이 많았는데 그런 생각에 대한 답변을 여러 모로 제시해주었다.


책을 읽다 보니 가장 흥미로웠던 점 중 하나가 동서양의 공부 방식의 차이였다.

다른 사람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배움은 다른 이(또는 책 또는 기타)로부터 오는 것이라 생각하는 동양 문화권에서는 아무래도 질문보다 선생님 및 부모님 등 다른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전해 듣고 가르침을 받는 것, 책상머리에 꼭 앉아야 공부를 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반면, 서양은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기 때문에 공부 또한 개인의 정체성 확립 및 생각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의견 및 다른 사람들과의 의견을 교류하고 질문하는 토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책을 읽다 보니 나 또한 계속 한국에서 공부를 하다가 영국에서 석사 과정을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세미나 시간이 생각났다.

영국에서는 강의식 수업이 끝나면 바로 그 시간만큼 세미나에 참여해야 한다.

세미나를 위한 리딩을 읽지 않으면 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세미나에 참여하기가 그만큼 힘들고 자국어로도 쉽지 않을 내용을 영어로 읽고 생각해야 한다는 게 너무 어려웠다.

가장 힘들었던 건 리딩 자체보다 세미나에서 할 질문을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었는데 질문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한국의 교육을 받고 자란 나로서는 도대체 무슨 질문을 해야하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

덕분에 1년 내내 세미나 시간마다 나는 꿔다놓은 보리자루였고(물론 세미나가 끝난 뒤 친한 친구들과 토론을 많이 했지만...그 때마다 친구들은 나보고 세미나 시간에 얘기를 해야한다고 했었다...ㅠㅠ) 이는 출석을 100% 했다 하더라도 참여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내 참여 점수는 언제나 바닥이었다.

1년 간의 세미나를 마치고 나서야 그 의미와 공부 방식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친구들과의 토론을 통해 솔직히 교수들의 강의보다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동양인으로서 서양에서 공부하며 어려웠던 점 하나는 서양에선 무조건 하나의 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사실 세상은 흑백논리로 설명할 수 없고 그 사이 수많은 채도와 농도의 회색이 있는데 이것을 인정하지 지 않고 에세이든 세미나든 하나의 스탠스를 가지고 내 논점을 전개해나가야 한다.

이건 사실 지금까지도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는 부분이지만 아마도 지식이라는 것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은 완전무결함을 추구하기 때문일 거란 생각이 든다.


한 가지 이 책과 달리 내가 가진 견해는, 영국에서 공부할 때도 생각한 것이지만, 서양의 공부 방식은 자기 의견을 잘 피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이뤄놓은 업적 및 지식을 망라해 내 것으로 만들고 그 위에 내 사소한 의견 하나를 더 얹기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다른 이들의 의견과 지식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내가 아무리 큰 사상과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인정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조화'를 중요시하는 동양과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인간이란 동물은 사회적인 존재로 다른 사람들에게서 '나'의 정체성을 인정받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