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ㅣ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제목부터 강렬하다.
긍정의 배신이라니.
개인적으로 상당히 밝은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이런 저런 일들에 부딪히다 보니 무턱대고 대책없이 긍정적이기만 할 수 없다고,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고민하던 차에 집어든 책이다.
정말 언제부터인지 기억할 순 없지만 우리 사회에 '긍정'이라는 단어가 만연하기 시작했다.
상당히 많은 자기계발서 및 서적들이 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던지, '시크릿'이라던지, '긍정의 힘'이라던지.
개인적으로 비슷비슷한 소리를 고만고만하게 얘기하는 자기계발서나 위로서 등등은 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떠올릴 수 있는 '긍정 파워'에 관한 서적이 적어도 두세 가지나 될 정도면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시크릿'은 읽어본 적이 있다.
상당히 황당무계한 어른을 위한 동화 내지는 사기극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는데 나만 그렇게 생각했던 것은 아닌가보다.
이 책의 저자는 황당하리만큼 만연해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감지하지 못하거나 되려 듣고 싶어하지 않아하는 긍정의 모순을 의학,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설명하였다.
책을 읽다 보니 나 또한 TV 광고 및 여러 매체에서 본 '긍정 파워' 전파 및 스스로도 지난 몇 년간 불평을 하기 보다는 모든 일에 대해 자책했던 일들이 떠올랐다.
왜 우리는 분노를 표출하면 안되는가?
분노도 불평도 엄연히 인간이 가진 여러 감정들 중 하나에서 비롯된 것인데.
긍정적인 것만 생각하고 긍정적인 것만 보고 긍정적인 것만 들으라는 것 자체가 현실에서 도피하라고 부추기는 것과 다를 게 무엇인가.
잘못 돌아가는 모든 일들은 그대의 노력과 열정이 부족해서라고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짜증스러운 긍정 타령에 엇박자를 놓치만 맹목적 짜증이 아닌 증거와 함께 조목조목 따져 묻는 글쓴이의 논리에 속이 조금은 시원해졌다.
긍정적 사고는 시장경제의 잔인함을 변호한다. 낙천성이 물질적 성공의 열쇠이고 긍정적 사고 훈련을 통해 누구나 갖출 수 있는 덕목이라면, 실패한 사람에게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 개인의 책임을 가혹하게 강요하는 것이 긍정의 이면이다. 당신이 경영한 기업이 도산하거나 당신이 일자리를 잃게 된 것은 당신이 최선을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성공 필연성을 굳게 믿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긍정적 사고는 분노와 공포라는 실체적 감정을 부정하고 쾌활함의 분칠 아래 묻어 두도록 요구한다.
`당신을 끌어내리는 사람`을 모두 깨끗이 쓸어버린다면 아주 외로운 처지에 놓일 위험이 높으며, 더 심각한 것은 현실에서 분리되어 버린다는 사실이다. 가족생활을 비롯한 모든 사회생활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기분을 살피고 통찰략을 얻는 한편 필요할 때면 상대에게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긍정적 사고의 세계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다른 사람은 당신의 보살핌을 받거나 당신에게 달갑잖은 현실을 직시하도록 하기 위해 거기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단지 당신을 보살펴 주고, 칭찬하고, 긍정해 주기 위한 존재다. 실제로 많은 시람이 이를 신조로 받아들여 ` 불평`이라는 단어 위에 큼지막하게 엑스 표를 친 스티커를 자동차를 붙이거나 명판을 벽에 걸어 둔다. 사람들은 자기감정을 차단하고, 그 결과 심각한 감정 결핍 상태에 이르게 된다. 누구에게도 남들의 문제를 생각할 시간과 인내심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