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육아의 사회학 - 스스로 ‘정상, 평균, 보통’이라 여기는 대한민국 부모에게 던지는 불편한 메시지
오찬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은 불평불만 투덜이 사회학자 오찬호의 신작이다. 저자의 이름을 보고 전작<나는 태어나자마자 속기 시작했다>를 읽었던 기억을 떠올렸다. 사회에 대해서 나름의 정의를 내리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일반적인 학자와는 좀 달랐다. 누군가는 어쩔 수 없는 것 아니야고 볼멘소리를 하는 그런 말조차 거리낌 없이 한다.

최근 느껴지는 연애에 대해서, 결혼, 이어지는 육아에 대해서 직접적인 당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주변의 영향을 얼마나 받는지 그대로 기술한다. 연애조차 능력으로 간주되는 신자본주의에서 모태솔로는 부정적인 의미의 단어로 사용된다.

연애를 한다고 해도 결혼과는 별개의 영역이다. 이전 세대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시대의 변화다. 일단 개인이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 너무나도 많다. 이는 빈곤층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개인의 연봉이 어느 정도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결혼 후에도 유지될는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성차별은 생활 곳곳에 깊이 묻어나기에 부담감을 이고지고 결혼을 한다고 해도 부모 세대와 달라진 점은 크지 않다.

누군가의 표현처럼 용감하게 결혼을 한다고 해도 아이는 통과의례처럼 여겨진다. 만나면 호구조사부터 시작하는 한국의 문화에서 아이가 없다면 왜 없느냐, 나이가 몇인데 아직 도니, 생각이 있으면 빨리 낳아라 등등. 아이가 하나면 외롭다느니, 아들이면 딸이 있어야 하느니, 딸이면 아들이 있어야 하느니 등. 오지라퍼의 수렁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기분은 당해 보면 안다.

신자본주의에서 계층은 존재하고, 계급을 넘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자녀교육은 마지막 보루라는 표현이 한숨을 자아낸다. 얼마 전에 종영한 드라마를 언급하지 않아도 대한민국에서 자녀교육은 부모의 얼굴이자 성적표이고 남은 삶이 결정되는 일이다. 현재를 살면서 만족하는 경우면 자신의 2세에게도 특별한 강요가 없겠지만, 하루하루 치열하고 용기를 내어 뛰어넘고 견뎌내야 하는 이러한 시간을 보내는 이라면 자녀에게 그게 무엇이든 성취하라고 압력을 넣지 않을 수 있을까. 문제는 개인이 아니라 구조에서 기인한 사회적인 건데 이는 너무 공고하고 거대해서 개인이 느끼지조차 못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휴우. 불편한 일을 왜 말로 하냐고, 그런 말 한다고 뭐가 변하냐고 투덜대는 사람도 있을 거다. 그러면 이 책을 안 보면 된다. 그래도 민주주의 사회고 개인이 모여 사회를 이루고 함께 산다고 생각한다면, 적어도 깨어있으려 노력한다면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으로 한국의 민낯을 그대로 느껴보길 권한다. 쉽게 정답을 내어주지도 않고, 정답을 찾으려 하지도 않는다. 정확한 진단은 처방전이라는 문구가 아프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