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4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레자가 토마시의 집 초인종을 누르고 토마시에게 인사하는 순간 테레자의 배에서 난 꼬르륵소리(그녀가 영혼과 육체가 가장 일치하길 바랐던 순간의 불일치의 이미지)에서 테레자는 태어났다. , ‘육체의 배신의 이미지에 의해 테레자의 사랑의 근본적인 의미가 변화한다.

 

테레자에게 육체는 타인들과 구분되지 않는 아무 의미도 가지지 않는 보편성이었고, ‘영혼은 타인과 나를 구분짓는 유일한 특수성이었다.

이 술주정뱅이와 수치심을 모르는 늙고 추한 육체를 가진 어머니로 대표되는 저속한 보편성의 세계에서 테레자가 갖는 특수성의 유일한 징표이며, ‘정조가 토마시의 수많은 여자들 속에서 테레자만이 가질 수 있는 특수성이었다.

 

토마시는 책을 통해서 저속한 세계 속에서 버둥거리던 테레자의 영혼(특수성)에게 말을 걸었고, 테레자는 사랑에 빠졌다.

 

테레자는 수많은 다른 토마시의 여자들도 지니고 있는 보편성의 영역인 육체를 제외한, 절대적인 정조의 확실성 위에서만 그들의 사랑이 유지될 수 있다고 믿었다. 중요한 점은 테레자가 확실하게 그렇게 믿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테레자는 영혼의 형태에 맞추어 육체를 그에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테레자는 욕망이 좌절되는 현실 속에서 욕망의 갈증을 해소시키기 위해, 영혼과 육체로 존재를 이원화시키고 각각에 모순되는 욕망을 부여한 후 억지로 이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욕망을 존재에 투사했던 것이다. 그 본질적 모순은 육체의 배신이란 형태로 해소된다.

 

테레자의 정조가 무너진 순간, 즉 다시 한 번 테레자의 육체가 영혼을 배신한 순간, 테레자는 아찔한 현기증을 느낀다(현기증이란 추락에 대한 공포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추락에의 욕망 그 자체이다). 안간힘을 쓰며 영혼과 육체를 일치시켜 왔던 테레자의 육체의 배신, 테레자의 존재를 지탱하던 본질인 특수성이 무너진 순간, 그 특수성 위에서 유지되던 사랑의 의미도 변화했다.

 

정조에 기반한 사랑의 관계에 위기가 찾아왔을 때, 테레자는 강하게 시골, 전원시의 이미지를 느꼈다. 시골, 전원시의 이미지는 낙원에 대한 향수이며 인간이 인간의 노정에 던져지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욕망을 말한다.

 

우연히 토마시가 약해졌음을 느낄 때, 토마시는 테레자에게 토끼의 형태로 변해 다가왔다. 이 이미지는 이제부터 두 사람 모두에게(상대방에게, 또 스스로에게) 존재 이상의 것을 요구할 힘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로 테레자는 전원적인 사랑을 느낀다.

 

전원적인 사랑이란 갈등, 진화가 없는 사랑이며, 서로 이해관계가 없는 사랑으로 카레닌과의 사랑으로 대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