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플라스틱을 먹었습니다 - 환경과학자가 경고하는 화학물질의 위험
롤프 할든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문화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한번은 플라스틱 빨대가 꽂힌 거북이의 사진을 봤던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 후로부터 플라스틱 사용량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유명 까페에서부터 종이빨대를 사용하거나 여기저기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위해 재활용이나 대체품들을 찾고 있고, 나도 가까운 까페를 갈 때는 꼭 텀블러를 가져가려고 한다. 근데 그런 노력만으로 플라스틱 문제들을 돌이키기엔 너무 멀어져버린게 아닐까? 처음엔 그런 호기심으로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은 '오늘도 플라스틱을 먹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플라스틱의 내용만 가득할거라고 생각했지만 환경과학자로 오랜기간 연구를 통해 난연제, 화학비료, 석유 등 사람이 만든 독성물질이 지구를 오염시키고 다시 사람의몸으로 들어와서 인체에 영향을 주는 사실을 밝혀낸 저자가 그 영향을 사례와 사실을 포함하여 일반인들에게 알려주는 친절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환경 재앙들로 불리우는 떠올리면서 다이옥신이나 고엽제같은 독성물질에 대한 혐오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대체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옥수수 재배 때문에 오히려 비료에 의한 환경 오염이 일어난다거나, 향균제품을 사용하면서 오히려 유기염소 화학물로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하면서 우리몸에 수백종류의 물질들이 쌓여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환경문제는 정말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그런 중요하고도 긴급하게 대책을 마련해야 되는 문제인 것이다.



화학물질을 통해 만든 것들 중 가장 완벽한 것으로 불리우는 플라스틱들은 분해되지 않기도하고 생활 속에서 너무나 많은 종류로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대로 진정한 재활용이 되지도 않으며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안도 없다. 결국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열분해라던가 부식에 의한 파쇄 같은) 미세플라스틱의 형태로 변하고 생선 같은 생물들에 농축되어 결국 사람한테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책상에서 둘러보니 내가 사용하고 있는 많은 물건과 제품들은 플라스틱 뿐 아니라 화학물질이 이용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어차피 만들어진 물건이라면 최대한 아껴서 사용하고 환경을 파괴하지 않도록 오래 사용하려고 다짐했다.

환경문제와 독성연구에 관한 부분은 앞으로도 많이 연구가 되기를 바라고, 진심으로 두껍지 않은 이 작은 책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좀 더 플라스틱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 지식들을 통해서 각작의 생활을 바뀌어 조금이라도 오염을 줄일 수 있기를 바란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