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창에 인내심을 넣어봤다.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참고 견디는 마음'이라고 뜬다.
생각해보면 단순히 몸뚱이 어딘가로만 느껴지는 괴로움은 나도 꽤 잘 참는 편이다. 예컨대 그토록 두려워하는 치과 진료도 막상 시작되면 꽤 잘 참는다. 힘껏 벌린 입 속으로 차가운 것들이 침투해 오랫동안 굉음을 내는 순간에도 퍽 의연하게 대처하는 편이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도 '금방 끝난다, 조금만 더 참으면 된다'라는 식으로 달래주는 말을 들은 적은 별로 없다. 오히려 아프면 말해라,라는 주문을 들은 기억은 꽤 있다. 치과에서뿐만이 아니다. 뼈에 이상이 생겨서 거동이 불편했을 때를 빼고는 몸살이나 생리통 등의 이유로 결석 혹은 결근을 한 기억이 없다. 손발에 굳은살이 점점 심해지는데도 운동을 계속 가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진짜 하나도 안 아프냐는 가벼운 걱정을 듣기도 했고. 미련한 성향이다. 그런데도 그러한 자세가 노예근성보다는 건강 내지는 깡을 더 증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작은 자부심을 느껴본 적마저, 우습지만 분명 있었다.
남들과 비교했을 때 내가 눈에 띄게 인내하지 못하는 것은 따로 있다. 안타깝게도 억압이나 불의 같은 건 아니다. 내 세계관을 흔드는 것도 아니며 시민으로서의 나를 불쾌하게 만드는 상황이라고도 할 수 없는데, 바로 누군가가 '스튜디어스'라고 말하는 것을 듣게 되는 순간이다. 그 순간에 직면하면 표정의 변화를 어떻게 참아야 할지 아직도 그 방법을 잘 모르겠다. 그게 뭐라고. 어떻게 참아야 하냐며 누군가에게 실제로 물어본 적도 있었지만, 스튜디어스라고 말하는 사람과는 대화를 안 하는 수밖에 없다는 답변을 듣고는 곧 실망했었다.
잘 안다. 스튜디어스라는 말보다 그런 말에 특정한 반응을 하는 내 성정 자체가 훨씬 더 고약하게 생겨먹었다는 사실을. 그래서 이제라도 작정하고 스튜디어스에서 좀 자유로워져보려고 한다. 인내심을 발휘하기 힘들다면 급한 대로 꼼수라도 동원할까 한다. 꽤 그럴듯한 방책도 하나 떠올려봤다. 스튜어디스라는 말을 써야 할 것 같은 대화에서는 나부터 나서서 '승무원'이란 단어만 사용하는 거다. 괜찮은 대비책이라며 사실 스스로 조금 대견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