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나를 찾아라 -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록
법정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는 무아를 강조하는데 진짜 나를 찾으라니 출판사에서 책제목을 잘못 뽑은 듯하다. 법정스님이 힌두교 신자는 아닐텐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jinga10 2024-05-03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부를 더 하셔야겠네요.. 석가모니는 무아론자가 아닙니다. 법정스님은 정확히 알고계신거죠 참나가 있다는것을

ryong357 2024-05-03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국불교를 불교라고 잘못 알면 참나(아트만)를 불교교리로 착각하게 됩니다. 한국의 불교종파들은 거의 그 계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요. 중국에 와서 노장자의 영향을 받아 변형된 불교 말고 진짜 불교, 즉 인도불교를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원래의 불교를 공부하려면 후대에 만들어진 경전 말고 부처님 원음에 가깝다고 평가되는 아함경이나 니까야 경전이 좋습니다.

ryong357 2024-05-03 16: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붓다는 원래 힌두교신자였다가 참나(atman)가 존재하지 않음을 깨달아 힌두교 교리의 잘못을 지적하고 새로운 사상인 불교를 제창하였습니다(anatman). 힌두교는 영생하는 참나의 존재를 인정하므로 환생이라는 말을 사용하지요. 그러나 불교는 참나를 부정하므로 환생이라 하지 않고 윤회라고 합니다. 불교에서 윤회란 갈애로 인한 인연 때문에 새로운 생명이 출현한다는 의미이므로 죽은 사람이 참나를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새로운 육체를 입고 다시 태어난다는 식의 환생과는 다릅니다. 붓다가 참나를 인정했다면 그냥 힌두교도로 살았을 것이므로 애당초 불교를 제창하지도 않았겠지요. 불교의 기본인 오온, 십이처, 십팔계가 모두 무아를 설명하는 핵심교리입니다. 이해 좀 되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