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분노하는가? - 분노 사회에서 나를 지키는 길
조정민 지음 / 두란노 / 2018년 9월
평점 :
'우리는 왜 이렇게 화가 나 있는 겁니까?'
물음표가 붙어있는 목사님의 질문은 질문이 아니라 정의에 가깝다. '우리는 모두 이렇게 화가 나있다.'
화가 나 있다, 분노 한다는 감정 역시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기에 인간이 자연적으로 느끼고 품을 수 밖에 없는 감정임에는 틀림 없다. 성경에서 분노와 관련된 여러 인물들을 분노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주셨다. 가인 / 요셉 / 사라 / 모세 / 다윗 / 요나 / 에브라임 / 삼손 / 세례 요한 / 마르다 / 예수님
모두 분노라는 감정을 품었고 드러내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각 사람의 사연 만큼이나 각자 이유를 가진 분노를 보여주되, 이 분노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유를 얻는 법으로 독자들을 인도하고 계신다. '분노'라는 주제가 현실과 매우 밀접하여 책이 쉽게 읽혔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분노의 처리를 배운데로 하는 것이리라.
진정한 분노, 의로운 분노, 거룩한 분노
감정적인 분노, 이기적인 분노, 경험적인 분노
p.181
분노라는 단어를 수식하는 표현들에 분명 차이가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지만 실상 자신이 자신의 분노의 근원이 올바른것인지? 는 구분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해봤다. 저마다 자신의 감정이 아픔이 크기 때문이다. 소통의 시대라고 강조하지만 그럴수록 소통이 아니라 자신 기준의 감정만 드러내어 소통이 단절되어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자기 기준의 판단으로 상대방을 바라보아 소통은 시작한 적도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오늘을 살아가고 있다.
분노 조절장애로, 피해 망상으로 점점 치닿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자신도 지켜내지 못하고 뒤처질까 염려 한다. 그러니 내일의 미래인 자녀들의 삶 또한 돌볼 여력이 없다. 그런 여력이 애초부터 나에게는 없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매일 생명의 강인 '말씀'에서 그 생수를 길어내는 것이 유일한 길이었기에 패배를 인정하고 항복하고 주님께로 돌이키는 것이 지금으로써는 가장 큰 대안이 아닌가 싶다.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드러내신 진정한 분노, 의로운 분노, 거룩한 분노를 드러내신 데에는 끊임없이 하나님께 배우신 데에 계셨듯이.
from. 오렌지 자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