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소매틱스(Somatics, 몸학)를 배웠다. 여기서 몸이란 유물론적 물질이 아니다.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인간 몸의 총칭이다. 나와 너의 1차적 구별은 몸의 차이점이다. 몸에 따라 사건에 대한 반응 양식과 그 해결책이 달랐다. 기억도 해석도 달랐다. 이렇게 몸에 대한 이해와 신비가 깊어갈수록,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 대한 관심과 경외감이 따라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이 책의 서평을 써야겠다고 결정하게 만든 동기 중 하나다.

 

물질이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최소 단위, 원자로 이뤄졌다는 생각은 뉴턴의 창작물이 아니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로 불리는 많은 사람들이 우주의 구성 기본단위들을 고민했고, 나름 제시해 왔다. 엠페도클레스는 물, , , 공기를 제시 했다. 이런 4원소를 현대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엉성하고 유치하기 짝이 없지만, 그들이 체험한 시각정보와 인식체계를 고려한다면 설득력 차원에서는 오늘날 우리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다. 여전히 우리는 우주 삼라만상의 기본단위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 그러나 현미경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는 그들과 전혀 다른 시각정보를 갖게 되었다. 급기야 생명의 기본단위라고 부를만한 그것을 보았다. 로버트 훅은 그것을 세포라고 불렀다.

 

큰 딸 아이가 감탄사를 그만 좀 해주웠으면 부탁할 정도로 이 책이 제공하는 사진들은 경이로웠다. 무엇을 본다는 것은 사고를 구체적으로 만든다. 본 것을 그리도록 만들고, 그리려면 관찰에 관찰을 더해야 한다. 보이는 것의 부분과 전체를, 그 관계와 비율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름도 생소한 차등간섭위상차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다양한 세포 사진들은 천문학 관련 다큐멘터리에서 보았던 별을 닮았다. 치밀하게 설계되어 있었고, 그 어떤 건축가도 실현하지 못할 디자인으로 꼼꼼하게 건축했다. 물론 세포염색기술이라는 인위적 간섭이 없진 않지만, 내 몸 안에, 우리 집 강아지 안에 그리고 땅과 공기 속에 저렇게 아름답고 독보적인 생명체들이 가득 차 있다니 놀라울 뿐이었다. 나아가, 그걸 사진으로 찍어 지금 내 눈으로 볼 수 있다니. 생명을 다룬 그 어떤 철학적 설명과 감동적인 영화보다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생명의 근원이 우주 운석에서 발견된 핵 염기이지, 별똥별에 묻어 들어온 단백질의 구성요소, 아미노산인지 알 도리는 없단다. 그러나 분명 우리는 몸을 가지고 산다. 그 몸은 세포로 이뤄져 있고, 그 세포는 자신이 해야 할 역할과 있어야 할 위치를 잘 알고 있다. 세포분열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은 세포의 자살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한다. 세포는 자기 자신을 전체와 구별해서 인식하지 않는 모양이다. 어떤 세포의 죽음은 전체 몸에게 있어선 오히려 자연스런 삶의 과정이다.

 

생식과 유전, 진화를 둘러싼 인간의 노력은 단 한 번도 멈춘 적이 없지만, 우리가 잊고 있는 사실 중 하나는 현대 인간의 삶이 너무나 파편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전제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전체가 나아가는 방향과 의미를 현대인은 알지 못한다. 아니,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각 세포가 전체 몸을 위해 자리 잡고 움직이듯이, 개인이라는 나는 어떤 목적에 이끌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까? 나의 위 세포는 내 얼굴을 모른다. 내가 무슨 음식을 먹는지도 모른다. 내가 좋아하는 혹은 싫어하는 음식도 모른다. 그러나 위 세포는 단 한 번도 이에 불만을 표시하지 않고 그냥 일하다가 스스로 죽어갔다. 그 자리를 자신의 후손이 다시 담당하게 되더라도 세포는 전체를 미워하지 않는다. 그냥 그곳에 있을 뿐이다. 그 있음이 그의 의미다. 인간만이 이러한 철학을 거부하는 듯하다.

 

몸에 좋다는 콜라겐, 몸에 나쁘다는 지방도 모두 세포였다. 그들의 면면을 보니, 인간의 편견이 얼마나 가소로운지. 이 책의 사진들은 단순히 감탄사만 만들지 않는다. 사진 너머에 있는 인간중심의 패권주의가 생명을 얼마나 경멸하며 돈벌이에 이용하고 있는지를 고발한다. 물론 저자에게는 뜻밖의 반응이겠지만.

 

아내와 아이들에게 사진을 중심으로 책을 소개했다. 생물교과서에서 봤다면서 시큰둥했다가도, 쉴 새 없이 펼쳐지는 세포들의 화려한 퍼레이드에 놀라는 표정이다. 게다가 깨알 같은 설명을 읽고 나면 한 번 더 놀랄 수밖에 없다. 저렇게 아름다운 형형색색의 표정들이 대장균, 탄저균, 식중독균이라니. 우리의 병은 이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자녀가 있다면 꼭 함께 읽었으면 좋겠다. 읽으면서 생명의 경외감은 물론 인간 중심의 가치체계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를 나눴으면 한다. 이 지구는 호모 사피엔스 혼자의 것이 아니다. 개체 수만 보자면 단세포 생물이 지구의 주인일 수도 있다. 인간은 주변 이웃 생물들에게 너무 가혹한 존재는 아닐까. 작지만 엄연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세포들과의 관계도 생각할 수 있도록 마음의 지평을 열어준 저자에게 깊이 감사한다. 작디작은 세포와 크디큰 우주의 세계가 닮아도 너무 닮아있음에, 그 사이를 생각과 이야기로 연결하려는 인간으로 살고 있음에 감사한다. 생명은 하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