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
이은기 지음 / 시공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스스로 밝히고 있는 바이지만, 이 책의 독후감은 아무래도 미술사 관련서적을 읽었다기보다는, 미술품을 통해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정치를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더 많은 도움을 받았다는 쪽으로 기운다. 비전공자로서도 전혀 난처함이나 지루함을 전혀 느낄 수 없었던 것은 미술사를 이야기하면서 미술에 갇히지 않은 저자의 접근방식 덕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인문학이나 사회학에 더 익숙한 일반인들에게 부담 없이 읽힐 듯하다. 이 정도면 술술 읽히는 정도가 아니라 탐독(耽讀)에 값할 만하다.

사실, 책제목이 다소 딱딱한 감이 있어서, 지나치게 전문적인 관련 용어들이 삼엄하게 진을 치고 책읽기의 의욕을 무참하게 꺾어버리면 어쩌나 두려운 감도 없지 않았지만, 저자의 시선이 가진 매력을 발견하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관례적인 미사여구와 그만그만한 찬사들, 동의할 수 없는 감탄들이 그림소개의 대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는 제1장, '14-15세기 피렌체의 가족예배실 벽화 읽기'를 통해서 일찌감치 씻을 수 있었다. 풍부한 도판으로 뒷받침된 꼼꼼하고 차분한 분석은 오히려 두 번째 미덕이라 해야 할 것이다. 눈길을 끄는 가장 큰 미덕은, 명화(名畵)로 교육받아 온 과정에서 이미 감상의 대상으로서는 화석이나 다를 바 없이 자동화되어 버린 그림들이 저자의 분석을 통해 여전히 흐르는 당대의 맥락 속으로 그 의미가 되살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정지된 과거의 유물(遺物)로 박제되지 않고, 순수회화의 고귀함으로 정지되지 않고, 구체적 삶의 맥락 가운데서 생생하게 그 작품의 현실적 필요와 힘이 충분히 느껴졌다. 저자가 동사무소에 걸린 어색한 포즈로 서 있는 대통령의 사진이 갖는 의미를 물을 때, 클린턴의 정치광고가 5백년이나 된 르네상스 지도자들의 낡은 수법을 답습하고 있음을 지적할 때, 오래된 미술품의 의미는 우리들 삶의 한가운데로 육박해 온다.

저자가 신비의 갑피(甲皮)를 벗기는 것은 미술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술품을 주문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부풀려진 이미지를 만들려 했던 르네상스의 귀부인이나 정치가들이 '예술 창작의 후원자'라는 빛의 베일을 벗고 까탈스럽고 말 많은 단골손님이나 상품 주문자의 본모습을 드러내야 한다면, 르네상스 예술에 가장 큰 기둥이었던 교회 역시 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 말, 자본주의 싹트기 시작할 때, 교리로는 고리대금업을 금하고 면죄금으로 이윤추구의 죄의식을 사하였던 교회의 이중적 모습 역시 적나라하게 지적된다. 심지어 성화(聖畵)의 주제까지도 고리대금업자들의 이해가 반영되어 <세금을 내는 예수>가 그려진 사실을 읽으면, 성화에 대해 갖는 우리의 종교적 편견과 경직된 사고(思考)에 실소를 금할 수 없게 된다.

벨베데레 정원을 지어 고대 조각을 장식하고 베드로 대성당의 대규모 증축에 착수하여 1508년 미켈란젤로에게<천지창조>를, 라파엘로에게 서명실의 벽화와 '엘레오도로의 방'의 벽화를 주문한 교황 줄리오 2세의 인문주의 정책의 허상을 밝히는 대목에 오면 필자는 한층 더 단호해진다. 현실을 개혁하기보다는 학문과 예술, 신학까지도 자신의 이미지와 개념을 미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했던 교황에게는, 모여든 학자와 설교자, 화가들이 사실상 교황의 이미지 메이커들, 흥행사에 불과했음을 입증한다. '르네상스 교회에 진정으로 필요했던 것은 미화가 아니라 개혁이었다'고 저자가 말할 때, 그는 미술이 정치의 도구가 되어 권력의 요구에 부응한 과거 역시 냉정하게 드러내는데, 바로 그 지점에서 독자는 깔끔하고 세련된 갤러리에 갇힌 오늘, 우리의 미술품이 우리 사회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묻지 않을 수 없게 된다.

3장 '광장과 미술 그리고 정치이념'에서 이제는 예술품으로만 그 역할이 정지되어 버린 <다비드>상의 제작 과정과 원래 위치, 위치 변경을 둘러싼 공화국 피렌체 시민들의 논의와 관심을 설명하는데, 광장과 조각이 정치이념을 살아 숨쉬게 하는 공간환경으로써 기능한다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지, 예술이 시민들의 생활과 어떻게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들을 하게 한다. 독자가 이 부분을 읽으며 서울 거리에 세워진 동상들과 이곳저곳의 광장들을 떠올려 보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 외에도 저자가 이사벨라 데스테의 미술후원의 성격을 들여다 보며 중앙 문화에 대한 선망을 고급 키치로 메울 수밖에 없었던 변방의 욕망을 읽어내는 장면 역시 독자로 하여금 우리의 문화 형편을 떠올리며 쓴웃음을 깨물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장면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이 책은 그 미술품을 가능케 했던 '르네상스의 사회와 사람들'을 생각하게 하지만, 동시에 '지금 우리의 문화와 예술'을 생각게 한다.

221개나 되는 고급스런 도판이나 친절한 해설, 메디치 가(家)등, 르네상스 시대에 대한 흥미로운 스케치들이 이 책을 읽으며 얻은 만만치 않은 즐거움임을 인정해야겠지만, 단순한 호기심이나 약간의 지적 허영심만으로 책을 덮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오늘', '이곳'을 고민하게 하는 저자의 피할 수 없는 진지함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