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새 -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김보라 쓰고 엮음, 김원영, 남다은, 정희진, 최은영, 앨리슨 벡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힘들고 우울할 땐 손가락을 봐. 그리고 한 손가락 한 손가락 움직여. 그럼 참 신비롭게 느껴진다. 아무것도 못 할 것 같은데 손가락은 움질일 수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콜릿 하트 드래곤
스테파니 버지스 지음, 김지현 옮김 / 베리타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독특한 설정에 신선한 소재를 품은 소설이군요! 소녀가 되어버린 드래곤, 그리고 새로운 꿈을 쫓는 여정이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 소개란에 있는대로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가 행복감을 느낄만한 소설이 될 것 같네요.
˝본 리뷰는 출판사 경품 이벤트 응모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새 -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김보라 쓰고 엮음, 김원영, 남다은, 정희진, 최은영, 앨리슨 벡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의 결말에 흐르던 영지의 음성은 이렇게 끝난다. "그때 만나면 다 이야기해 줄게." 우리는 어떤 얼굴을, 어떤 이야기를 들을 기회를 잃은, 아니 빼앗긴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액션 영화를 보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주인공의 발길질 한 번에 나가떨어지는 

'악당1, 악당2, ... , 악당 100에게도 소중한 사람이 있겠지?'

'또 어느 누군가에게는 이들도 소중한 사람이겠지?'

어쩌면 그들은 주인공보다 훨씬 특별하거나 기구한 사연을 가졌을지도 모른다.

다만 조명을 받지못했을 뿐.


<피프티 피플>은 마치 그 단역 배우들에게 조명을 비춰주는 이야기 같았다.

한 명당 고작 너댓 장의 짧은 사연이지만 

마치 삶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구체적인 이야기 덕분에

몇 몇 인물들은 친근하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슬픔과 기쁨, 행복과 절망 등 갖가지 감정이 섞인 이야기들이

서로 엉키고 섥혀 새로운 이야기가 구성된다.

보통의 소설에서 접하지 못한 방식이라 독특하게 느껴졌지만

생각해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과 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

내가 바라보는 나의 모습만으로는 아무것도 설명할 수 없으니까.


조명의 각도를 살짝 틀어준 것만으로도 바뀐 것이 너무도 많았다.

특히, 누군가의 모습이 다른 누군가의 삶에 투영될 때 새로운 감정이 느껴졌다.

'어쩌면 나도 내가 아는 사람의 숫자만큼의 내가 존재하는게 아닐까' 하는 질문과 함께.

무엇이든 좋다.

안그래도 짧은 인생에 여러가지 기억을 남길 수 있다면 

그건 그것대로 좋은 일일테니.


책장을 모두 덮은 후 다시 표지로 돌아오니 50명의 이름이 반짝이고 있었다.

제각각의 은은한 빛을 뽐내며.


담당 교수 뒤에 의자도 없이 서 있던 젊은 의사가 위를 올려다보며 고개의 각도를 조금씩 계속 바꾸었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새 -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김보라 쓰고 엮음, 김원영, 남다은, 정희진, 최은영, 앨리슨 벡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ove yourself. 너 자신을 사랑하라는 말이 범람하는 세상이지만, 자신에 대한 태도는 많은 경우 자신을 대했던 주변 사람들이나 세상의 태도를 닮기 마련이다. 많이 아팠니? 얼마나 억울하고 힘들었니? 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 주는 어른이 있었다면 은희 또한 자신이 존중받아야 할 사람이라는 것을 자연스레 알아 갈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은희의 목소리는 누구에게도 들리지 않는다. 목소리가 지워진 사람. 공감받을 수 없는 사람이 자신을 존중하고 심지어 사랑하기까지 할 수 있을까. 아니면 자신은 함부로 다루어져도 어쩔 수 없다고 체념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