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하는 마음, 마약 파는 사회 - 일상을 파고든 마약의 모든 것
양성관 지음 / 히포크라테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로 수치가 증가하기도 했지만, 이번 정권들어 유독 마약에 대한 뉴스가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중독이라는게 어떻게보면 조금 쉽게 쓰이는 말 같아서 저는 중독이라는 단어에 대해 크게 경각심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는) 일중독, 담배 중독, 술 중독 등등

유학생활을 할 때에도 마약에 대해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만 들었지 실제로 본적은 없어서요. (마약 중독자라도)

다만 담배를 피웠던 입장에서 생각해봤을땐... 이런 흡입하는 중독 물질은 아예 안배우는게 맞는 것 같아요. 라는 신념을 가지고 중독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것들을 멀리하고 있습니다.

과연 마약은 어디서부터 시작했고, 왜 다들 마약을 못팔아서 난리인지, 중독되면 어떻게 되길래 이렇게 경각심을 일으키는지 궁금해서 이번 책 마약 하는 마음, 마약 파는 사회의 서평단에 신청했고, 다행히 선정이 되어 읽어볼 수 있었습니다.

첫인상




마약을 했을 때 생기는 정신적인 혼돈 증상을 잘 나타낸 듯한 그림이 표지로 되어있습니다. 어느새 우리의 일상까지 스며든 마약은 어쩌다가 이렇게 전세계에 퍼지게 되었을까요?

주요 내용

이 책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대마초, 코카인 뿐만 아니라 LSD나 펜타닐 같이 신종 마약까지, 예전에는 마약인줄 모르고 먹었던 약들의 대부분이 소개가 되어있어요. 마약의 유통과정을 소개하면서 왜 가난한 나라들이 마약 판매를 묵인하고 있는지 (심지어 권장하고 있는 나라도 있습니다), 마약 카르텔이 어떻게 횡포를 벌이는지도 소개 되어있어요.



대마, 마약, 항정신성 약품으로 카테고리를 나눈 마약의 종류가 소개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적정량만 사용하는 마약도 눈에 보이네요.

저도 급성췌장염으로 입원했을 때 마약성 진통제라고 해서 한 번 맞은 적이 있는데 고통이 심해서 그랬는지 따로 뭐가 느껴지진 않았던거 같습니다. 고통 좀 줄여줬으면 하는 마음이 제일 컸었습니다만... 책에는 같은 증상으로 맞은 마약을 잊지 못하고 자주 입원하시는 이야기도 나오더라구요. 미친.... 싶었습니다.



아마 죽기 직전이라면 (고통이 심하다는 가정하에) 몰핀이나 LSD 같은 진통성 마약을 맞고 편안히 죽음을 맞이하는 것도 방법이겠으나, 위에 소개된 에릭크랩튼 같은 경우도 마약 중독으로 자식을 잃고 썼던 곡이 "Tears in heaven" 이었으니...


마약이든, 담배든, 술이든, 호기심과 주변의 권유가 많았던게 와닿았습니다. 아무래도 또래끼리의 동질감을 저런식으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다만 담배나 술은 조금 용인해도 되는 분위기도 있고 그렇게까지 해악을 끼치진 않는데 (물론 과하면 안되죠), 마약은 유독 시작하는 순간부터 무서울 정도로 중독되는 것 같습니다. 후유증도 크고요.




역시 가난과 범죄는 어떻게 떼어놓을래야 떼어놓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삶이 힘들어서 중독 되었다... 이렇게 치부하기 보다는 제대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락으로 갈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 사회 구조 때문이 아닐까요?



 


네덜란드의 마약 모델도 소개 되어있습니다. 저도 잘 모를때는 이렇게 중독을 컨트롤 해주는게 나은 방법이 아닐까 싶었는데, 바로 뒤에 이어서 나온 모델의 실패 사례들을 보니 하루 아침에 합법화가 가능할 것 같진 않아요.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보니까 그래도 내 몸에 들어가는 약인데 좀 허술하게 제조하고 하는게. 오히려 나라에서 깔끔하게 제조 공정을 갖춘 시설에서 만들어서.... 까지만 생각했습니다.

저도 담배 피울 때 생각해보면, 하루에 10개비 정도 피우다가 5개비, 3개비 이런식으로 줄여가는 게 잘 안되더라구요. 아예 안피우면 안피웠지.



교도소에 모인 마약사범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이야기는 조금 충격적이었습니다. 어떻게하면 단속망을 피할 수 있는지, 서로 의논하는 학교의 역할을 한다니요.

예전 슬기로운깜빵생활에서 나온 마약범도 결국 출소하자마자 바로 다시 마약에 손을 대면서 잡혀가는 모습도 생각나고, 마약은 절대 시작하면 안된다는 마음에 그렇게 연출했다는 인터뷰도 유독 기억에 남더라구요.



콜럼비아에서 유통되는 마약의 가격변화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고 한 번에 왜 마약을 만들고 유통하는지 바로 알겠더라구요. 중독성 있는 (수요가 충분한) 부가가치가 엄청난 제품인데, 가난한 나라에서는 이런 유혹을 어떻게 떨칠 수 있겠어요?



게다가 이런 불법 사업을 독점한 카르텔이 지역 유통망을 모두 독점하여 막대한 이익을 거둘뿐 아니라 경찰에 협조하는 사람들 가족들까지 모두 죽인다고 합니다. 돈과 함께 피를 불러온거죠.





 

'고난의 행군'은 모두 들어보셨을겁니다. 100만명의 북한 동포들이 아사로 쓰러진 최악의 시기인데요. 이시기를 견디기 위해서 빙두 라고 불리우는 아편을 국가 차원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빵이 없다면 고기를 먹으면 되지 않냐던 어떤 분의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라는 미국의 식약처에서 허가해준 마약도 소개가 됩니다. 지연흡수를 통해 진통의 효과를 오래누릴 수 있다고 광고했던 제품도 결국 나중에는 그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마약으로 분류 됩니다. 결국 이 회사를 운영하던 퍼듀 파마는 자산을 해외로 빼돌리고 파산신청을 해버리죠.

마무리

지난번 찰스 밍거스의 전기를 읽고나서 진이 빠져서 그런가 길게 안쓰려고 했는데, 읽다보니 저도 생소했던 부분도 많고 경각심을 일으키면 좋겠다는 마음에 평소 생각과는 달랐던 부분에 대해 감상을 모두 쓰다보니 생각보다 길어졌습니다.




 

치료과정이나 중독 치유 시설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이 안되어있는게 조금 아쉬웠습니다만, 그정도로 아예 시작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마약은 절대 시작도 관심도 갖지 말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이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읽고난 뒤, 주관적인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