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도 지혜가 필요하다 - 노화와 질병 사이에서 품격을 지키는 법
헨리 마시 지음, 이현주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피할 수 없는 게 두 가지가 없다고 하죠. 바로 세금과 죽음입니다.

죽음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복합적이에요. (저도 그렇지만)

병으로 시한부 인생을 살게 된 젊은 사람들은 대부분 부정과 후회, 안타까움이 많을 것 같고,

어느 정도 연세가 있으신 노화로 돌아가실 것을 예측한 분들은 빨리 이 생명이 끝나기를 바라실 것 같아요.

육체의 노화가 이미 많이 진행이 되었는데, 끝나지 않는 생명을 붙잡고 있는 행위 자체를 싫어하는 때가 올지 모르겠어요.

이번에 소개드릴 책은 옆에서 죽음을 가장 많이 접하는 직업인 "의사"로 살아온 저자가 전립선암에 걸리면서 생긴 생활, 건강, 정신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에세이입니다.

초연해 보일 때도 있고, 누구보다 두려워할 때도 있고, 가끔은 희망차 보이기도 한 저자의 모습을 한 번 같이 보시면 좋겠어요.

첫인상




노화로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한 삶일까요? 노화는 필연적으로 질병이 따라올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질병이 주는 고통을 이겨낼 육신의 힘도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죽음을 준비할 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주요 내용

책은 암에 걸린 "의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생기는 에피소드 + 투병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의사를 하면서 환자들에게 대했던 감정에 대해서도 나와있고, 취미생활을 하면서 느낀 감정, 사기를 당한 경험, 투병을 하면서 검진 결과를 기다리는 과정 등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어요.



요즘은 병원도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이 드는데, 의사들이 환자들의 상태에 대해 냉정하게 선고하듯 말하는 부분은 많이 없어진 것 같아요. 그래도 희망의 불씨를 살려주는 게 중요하겠죠?

물론 시한 부고 남은 시간을 치료로 보낼지 가족들과 함께 마무리할지 결정하는 건 환자의 몫이죠.



저도 많이 후회하는 부분인데, 예전에 썼던 글이나 일기들을 부끄러워서 많이 지웠던 기억이 납니다. 아마 요즘처럼 신상 털기에 당할까 그랬던 거 같기도 하고, 그날 화를 참지 못해서 그랬던 기억이 나는데 다시 읽어볼 일이 없더라도 한 번 기록을 시작해 볼까 해요.



큰 병에 걸린 환자들의 대부분이 비슷한 생각을 하지 않을까 싶어요. 나는 죽어가는데 나는 정말 큰일을 맞이했는데 주변 사람들은 정말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일상을 보낸다는 사실 말이에요.

그전에는 잘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내가 아프기 시작하면서 더 눈에 띄는 거죠.



질병과 노화를 맞이한 "의사"도 똑같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남들처럼 논문에서 내 케이스에 맞는 살 확률에 대해 최대한 긍정적으로 찾아본다든지, 블로그 글이나 민간의학을 찾아보면서 성공사례들을 탐구한다든지...



나를 그리워해줄 사람이 있다는 것도 어떻게 보면 축복이겠지만.. 죽고 난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허무한 생각이 왔다 갔다 할 것 같아요. 현재 내 삶을 최대한 누리고 행복하게 마무리해야 한다는 점.



부끄럽지만 이게 가장 의미 있게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어요. 사람들은 그 사람이 살아온 인생을 기억하기보다는 죽기 직전의 모습을 제일 많이 기억한다는 것..

물론 침상에 누워있고 진통제를 맞으면서 병마와 싸우다가 돌아가시는 분들이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모습이겠지만, 내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인지하는 순간부터는 (잘 될진 모르겠지만) 초연하게 죽음을 맞이해보는 연습을 미리 해보는 건 어떨까요?



요즘 몸이 한두 군데씩 아파지면서 드는 생각이 정말 내 몸에 못된 짓을 많이 했고 나입니다.

물론 밥을 빨리 먹는 습관이 들었다든지 폭음을 하면서 흡연을 한다든지 이런 행위들은 신경과학적으로 내가 선택한 일이긴 합니다만, 이제라도 깨달았으니 내 몸을 좀 더 소중히 여겨야겠어요.

마무리

젊은 사람들에게 지붕 수리를 맡겼다가 사기도 당하고, 다단계에 빠져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민간의학에 전 재산을 바치는 것과 철럼 노년의 죽음을 앞둔 사람의 모습은 각양각색입니다.

실제 수명 연장은 100세 이상 가능하지만 건강 수명이라 하여 육체가 멀쩡한 수명은 평균 70세 내외로 알고 있습니다.

본인이 선택한 조력 존엄사가 필요한 이유라고 역설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고통에 맞서 싸우는 것도 육체가 어느 정도 기반이 되어야 가능할 텐데 지금의 생명 연장은 의무로 되어있어 환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계속 고통을 받아야 한다는 거죠.



죽음을 고통스럽게 겪는 장기 경험이라 정의한 저자가 어떻게 후회 없이 인생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 조력 존엄사가 왜 환자의 선택권이 되어야 하는 건지, 핸리 마시 선생님의 작품이 더 기다려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