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기행 2 -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 개정증보판 삼국지 기행 2
허우범 지음 / 책문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개인적으로 삼국지를 중국의 역사 기반 무협지라고 말씀하셨던 한분의 말씀에 굉장히 동의를 하는 편입니다. 지금 보라면 낯 뜨거워서 못볼 장면들도 많습니다만.. 아마 그런면에서 인기를 더 끈게 아닌가 싶어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 케릭터의 이미지화에 정말 성공한거 같아요. 아마 삼국지 붐의 1등 공신을 뽑자면 KOEI가 아닐까 싶네요.

여포는 KOEI사의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 저런 모자를 쓰고 나와 더듬이 달고 다니는 괴물로 칭해지고 ㅋㅋ

1권에서의 여정은 적벽대전까지로 마치고 2권 촉한 건국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1권은 위,촉,오 세나라가 생기는 혹은 그 나라의 주인공들이 성장하는 이야기라면 2권은 그 전성기와 몰락에 대해 이야기 할 것 같아요.

책의 첫인상




검문소라고 쓰여있는 큰 성문과 함께 뒷면은 1권과 동일하게 되어있습니다. 아마 장소가 조금 더 바뀌지 않았을까 싶어요

책의 주요 내용

전체적인 책의 구성은 1권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각 꼭지별로 맨 처음에는 역사적인 사실 혹은 연의에서의 묘사가 드러나있고, 그 장소를 가기 위한 작가님의 여정, 그 여정 중에 생기는 감정 혹은 현지인과의 에피소드, 현재의 모습 등이 사진과 함께 나타나있어요.

마지막에는 연의에서 왜곡된 사실이나 정사에서 다룬 실제 사건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2권의 시작은 친족인 유장의 땅을 차지하기 위해 형주에서 성도로 이동하는 유비의 모습으로 시작을 하는데요.

장비가 소설에서 묘사한 것처럼 포악하고 성질급한 모습으로 일을 그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장군의 노장수인 엄안을 포획하는 장면에서는 아래와 같이 묘사됩니다.

계단을 내려와 손수 결박을 풀어주고 옷을 입힌 후 윗자리에 앉히더니 머리를 숙이며 사죄했다.

아마 이런 모습 때문에 삼국지의 케릭터들이 더 개성을 가지는 것 같기도 하고, 비즈니스 등 실용서에서도 많이 활용되는거 아닌가 싶어요. 1800년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런 것 처럼 사람의 마음을 사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는 사실 말이죠.

또한 삼국지를 읽은 사람들 중 유비군의 뛰어난 장수나 참모들의 죽음에 아쉬워하지 않은 사람은 적었다고 생각해요. 낙봉파에서 방통이 사망하는 장면이라든지



그냥 자기딸이랑 손권 아들이랑 결혼 시켜서 살아남지 그걸 저렇게 말을 해서 굳이 적을 만들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계속 남게 되는 관우의 죽음도



관우가 손권과의 싸움 도중 독화살을 맞았는데, 그걸 치료하는 장면은 지금 생각해도 정말 명장면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신음소리 한번 내지 않고 바둑을 두면서 치료를 한다는게 소설의 허구성을 감안하더라도 남성성을 드러낸 장면이니까요.



그러다보니 관우가 치료받는 장면을 묘사한 동상도 건설했네요



하지만 관우의 신격화와 동시에 100원짜리 동전을 던져주면 일어나는 관우상을 만들었다는 중국인들의 기발함에는 저도 두손 두발 다 들었습니다.



역시 촉나라 이야기로 돌아오다보니 지형이 평지에서 산악형태로 많이 바뀌게 되는군요. 시까지 지어서 입촉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했으니.. 저도 나중에 시간이 된다면 한 번 가서 실제로 보고 싶어요. 제갈량 사후 등애가 촉나라를 점령하러 갈 때 산길을 돌아가느라 죽은 병사가 더 많다고 할 정도니..


 


저자님의 역사관이 드러난 부분도 책을 읽다보면 많이 보입니다. 사실 관계를 따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연의 내용을 수용한다는 건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동북공정도 오히려 중국과 사이가 좋았을 (싸드 배치 이전) 에는 공론화가 되었는데, 미중 갈등이 극에 다다른 요즘에 더 이야기가 안나오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많습니다. 참고로 제 중국친구들은 모두 티벳은 중국땅이라고 하고, 한국은 조공을 바치던 속국 정도로 알고 있더라구요 (10년 전입니다)



 

총평

주말에 오랜만에 재밌는 책을 읽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삼국지를 잊어버리고 산지 꽤 되어서 내용을 까먹지 않았을까 걱정도 했는데, 읽다보니 다시 옛날 생각이 많이 나네요 ㅎㅎ 이 참에 진 삼국무쌍을 오랜만에 켜서 관우도 살려보고 관우로 유비의 천하통일을 도와보는 건 어떨까 생각도 했습니다. (물론 딸아이의 합창 대회가 있어서 이번 주말도 반납....)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1. 1권과 동일하게 저자의 친절한 설명, 다양한 관점에서의 해석

  2. 동선을 그렇게 만들기 쉽지 않으셨겠지만, 시간 순으로 사건 순으로 여행을 가셔서 읽기 편했다는 점

아쉬운점은

  1. 책에 대해 아쉬운건 아니고, 한국의 역사에도 저런 재밌는 소설이 나오면 좋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