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사랑한 꽃들 - 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문학 작품에서 나오는 꽃들은 단지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제목부터 꽃말이 들어가는 작품을 제외하고는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나오는 수많은 꽃들에 관심 있게 보질 않았다. 그런데 작품 속에서 어쩌면 스치듯 지나쳐 버릴 법한 꽃들을 주인공으로 만든 책이 나왔다. 바로 <문학 속에 핀 꽃들> 이다. 한국 소설을 야생화의 관점에서 쓴 책으로 33편의 문학 작품에서 야생화가 나오는 문장을 찾아 의미를 해석하고 더불어 그 야생화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김연수의 <벚꽃 새해>는 청춘남녀가 헤어진 후 시계를 찾기 위해 다시 만나는 과정에서 벚꽃 풍경이 묘사 되는데 벚꽃이 피기 시작했으니 벚꽃 새해라는 대목은 신선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벚꽃과 매화꽃을 보면 비슷해서 구분하기 어려운데 꽃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을 해 놓아 이젠 쉽게 구분이 가능할 것 같다.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은 영화에서 만난 작품이다. 영화에서는 도라지꽃이 표현되지 않았는데 소설에서는 묘사가 되었나보다. 도라지꽃의 꽃말이 ‘영원한 사랑’인줄 여기에서 알게 되었고 소설의 내용과 부합되는 이 꽃말을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난향을 맡아 본 적이 없지만 정은궐의 <해를 품은 달>에서 은은한 난향이 무척 궁금해졌다. ‘귓볼에도 난향이 배어 있었다.’라는 대목에서 왠지 그녀에게 끌림을 당하는 기분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난이 청초하지만 음흉한 식물이라고 했나보다. 오래 전에 읽었던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에서는 민들레의 기억이 어렴풋이 기억이 난다. 아마도 그때 나오는 주인공들의 삶이 민들레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봄이 오면 민들레 나물을 해 먹는 나로서는 저자의 토종민들레, 서양민들레, 흰민들레 소개가 유익한 정보가 되었다.

 

소설과 야생화의 조화로운 이야기가 흥미진진했다. 평소 야생화를 좋아해서 소설보다는 야생화 정보에 관심을 갖고 읽게 되었지만 소설에서 박태기나무 꽃과 이주여성의 삶, 싱아와 박완서 작가의 어릴 적 추억, 냉이와 강인한 삶을 살았던 몽실이와 같이 대입되는 야생화의 상징성 때문인지 곧 소설의 전체적인 내용이 궁금하게 되었다. 아마도 이런 부분이 이 책의 매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주변에 많은 꽃들과 나무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요즘 길가에 핀 꽃이 철쭉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영산홍이라는 꽃이었고, 참나무는 나무 이름이 아니고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모두를 아우르는 이름이었으며, 등산을 하면 흔하게 봐왔던 가시덩굴이 청미래 덩굴이었고 이 잎으로 망개떡을 만들었다니 관심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야생화와 나무에 관한 지식을 많이 채워져 주었다. 다양한 소설 속에서 만나는 꽃과 나무이야기는 독특한 경험이었고, 쉽게 잊혀 지지 않을 여운을 남기게 되었다. 앞으로는 문학 속에서 만나는 꽃들과 나무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