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로 읽는 항우와 유방 - 초한지제의 흥망을 『사기』, 『한서』, 『자치통감』으로 파헤치다
신동준 지음 / 인간사랑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깊이 연구한 학오 신동준 선생의 초한지제를 접하니 감개무량하다. 풍부한 고전 지식을 바탕으로 초한지제를 분석한 저자의 논리에 탄성이 절로 나왔다. 초한지의 역사를 바르게 알고자 한다면 꼭 읽어야 할 명저다. 유방은 인재를 포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정치가였다. 반면 항우는 군사를 잘 다루고 싸움을 잘하는 장군감이었다. 천하를 놓고 정치가인 유방과 장수인 항우가 싸워 유방이 천하를 통일했다. 유방은 정치가로서 대국을 볼 줄 알았고, 자신이 건설해야 할 나라, 세상에 대한 나름의 비전이 있었다. 하지만 항우는 구체적으로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알지 못한 채, 군사들과 세력을 믿고 전쟁만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최고지도자는 역사의 흐름과 대세를 보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유방은 그것이 있었고, 항우에게는 그것이 없었다. 이것이 그 둘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한편, 저자의 견해에 대해 약간의 부연설명을 하고자 한다. 저자는 건달 유방이 명분을 버리고 실리를 취했으며, 귀족 항우는 명분을 취하고 실리를 버렸다고 말한다. 유방은 명분보다는 실리를 더 중시했고, 항우는 실리보다는 명분을 더 중시했다는 뜻이다. 동의하기 어렵다. 현실 세계에서는 명분과 실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명분을 위해 실리를 조금 뒤로 미루거나, 실리를 위해 명분을 내세우는 것이 그렇다. 천하를 차지하기 위해 때론 명분을, 때론 실리를 내세우며 싸웠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한전쟁 - 역사적 대전환으로의 지리적 접근
이동민 지음 / 흠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은 분명 난세다. 난세를 헤쳐가는 데 항우와 유방의 초한지제 만큼 지혜를 주는 역사도 흔치 않다. 초한전쟁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지리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해준다. 유방은 관중인들의 마음을 얻고, 관중을 기반으로 천하를 얻었다. 항우는 항복한 진나라 군사들을 생매장했을 뿐 아니라, 함양에서 약탈과 살육·파괴를 일삼았다. 저자는 당시 세상의 중심이라 일컬어지는 관중을 버리고, 변방인 서초를 택한 것이 항우의 패착이라 말한다. 항우는 대세를 보는 안목이 없었다. 병법에 능하고 군사가 많다 할지라도, 천하를 경영할 수 있는 안목과 지혜가 없다면, 참혹한 죽음이 있을 뿐이다. 초한전쟁이 일러 준 값진 교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사 시민강좌
이재석 외 지음 / 연립서가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일본사를 전공한 국내 최고의 지식인들이 강연한 것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일본사 방면으로 공부를 많이 한, 국내 학자들의 강의를 책으로 접하니 감개무량하다. 일단 이 책은 재미나다. 쉬우면서도 일본 역사의 핵심 맥락을 잘 설명해 주고 있어 놀라울 따름이다.

 

이 책에서 특히 인상 깊게 읽은 게 있다면, 일본의 유학 사상이다.

일본은 17세기에 이미 독자적인 중화론을 발전시켰다. 반면 조선은 어떠한가. 멸망한 명나라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체, 존화 사대주의에 안주하고 말았다. 결과는 참담했다. 조선은 망할 때까지 이러한 노예적 사대주의를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일본은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세계관을 확립하여, 세계열강의 대열에 우뚝 설 수 있었다.

 

구한말, 강증산은 이렇게 말했다.

내 세상에는 내가 있는 곳이 천하의 대중화(大中華).”

모화사상에 찌들어 썩을 대로 썩은 조선에 폭풍 같은 일갈이었다. ‘앞으로 조선이 세계 문명을 주도하고 이끌어가는 중심국가가 될 것이란 뜻이다. 그 당시 조선의 현실로 보자면 황당한 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소중화론을 벗어나 자기를 스스로 높이는 독자적 중화론을 펼쳤다는 면에서, 강증산은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온다. 기존의 중화론을 뛰어넘는 자주적 천하관, 자주적 세계관의 회복을 뜻한다. 내가 사는 이 땅이, 곧 세상의 중심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장차 세계사를 주도할 것이라는 대중화사상은 결코 허황된 망상이 아니다. 우리가 사는 대한민국은 세계 어디를 내놔도 손색없는 살기 좋은 세상이다. 세계인들이 한국을 좋아하고, 한국에서 살고 싶어 하는 것은 그만큼 이 나라가 살기 좋기 때문이다.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한국은 중화로서 손색이 없다. 스스로를 비하하는 짓거리는 이제 그만하자. 이 나라를 부강한 나라로 만들어 대중화의 꿈을 이루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 중국사 1 : 중화의 성립
와타나베 신이치로 지음, 이용빈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중국사를 다룬 5부작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중국사의 흐름을 쉽고 간결하며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중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 당대(唐代) 역사를 읽을 때는 많은 생각에 잠기기도 했다.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현종의 개원의 치가 어떻게 안록산의 난을 겪으며 참혹하게 몰락했는지 생각해 보았다. 제국의 경영시스템을 무시하고 소수의 인사에게 권력을 너무 많이 안겨준 것이 비극의 시작이 아니었을까? 양국충과 안록산의 권력투쟁이 대당 제국의 몰락으로 이어지다니. 정쟁이나 권력투쟁이 자칫 풍요로운 세계의 종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사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서기는 위서(僞書)다 - 백제의 왜국 통치
이원희 지음 / 주류성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제부흥군의 왕으로 추대된 부여풍이 왜왕이었다니? 왜국의 천지가 부여풍의 아들이었다니? 이 책은 시종일관, 백제가 왜국을 지배하였음을 사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논증한다. 저자는 일본서기는 백제인들이 만든 것이라 주장한다. ‘우리는 백제 속국이 아니다’, ‘지배층도 토박이 너희들과 뿌리가 같다’ 즉, 토박이들을 속일 목적으로 지은 창작된 위서라는 것이다. 읽는 내내 가슴이 뿌듯했다. 백제의 왜국 지배를 생동감 있게 느낄 수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