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따옴표 없는 빅뱅이 있었고 온 우주가 극단적으로 뜨겁고 밀도가 높아 공간이 팽창되었고, 이 팽창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뿐이다. 어쩌면 아주 평범하지만, 그렇다고 중요하지 않다고 말할 수도 없는 일이다. 이 단계는 과거의 어느 한 시대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의 추정으로 볼 때 약 138억 년 전에 발생했다. 하지만 공간과 시간에 시작이 있었는지에 관해서는 아직 모른다. 그런데도 편의상 가상의 특이점을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 순간으로 보고 “‘빅뱅’ 후 3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것은 외삽법(外揷法, Extrapolation)일 뿐, 그 이상은 아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를 알 수 있다면 과거로 돌아가볼 필요가 있다.


...우주의 평균 밀도는 임계값과 같다. 여러분이 평균 밀도를 기하학적인 방식으로 보고 싶다면, 우주 공간의 곡률은 큰 규모에서 0이다. 우주의 모든 원자는 임계 밀도의 약 5퍼센트밖에 되지 않는다. 우주의 95퍼센트는 우리가 잘 아는 원자 물질과 완전히 다른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주의 내용물 중 약 25퍼센트가 비원자 유형의 암흑 물질이다. 우주의 내용물 중 약 70퍼센트는 빈 공간의 에너지(혹은 우주 상수)다. 이것은 우주가 팽창하는 방식에서, 즉 팽창이 가속화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 때문에 우리가 알게 된 것이다. 원시 우주에는 대규모 구조의 기원을 아주 잘 설명하는 작은 불균질성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재 이 초창기 불균질성의 출현을 설명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급팽창 모형이다.


...지각적 한계와 함께 우리의 인지적 한계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특정한 방식으로 우주를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는 놀랍지만, 그 너머에 인간이라는 존재가 저 너머에 있는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을지는 전혀 분명하지 않다. 인간 중심적 사고가 죄악일 수 있는 것이고 말이다. 과학은 철학자 토머스 네이글(Thomas Nagel, 1937~ )이 ‘어디에나 있는 시선’36)이라 부른 것, 즉 특정한 관찰 지점에 얽매이지 않으려고 끊임없이 갈망한다. 편견이나 개인적인 취향, 열망에서만 자유로운 것이 아니라, 공간이나 시간의 어느 한 위치에서 갖게 되는 관점으로 변질되지 않고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원하는 것이다. 직관이나 즉각적인 경험이 논쟁의 여지가 없어 보이게 만드는 수많은 것들이 실제로 근거가 없거나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해준 것이 바로 이 명확하고 왜곡되지 않은 비전에 관한 연구 덕분이다.


..또한, ‘발생 가능한 모든 일이 일어난다’는 식의 모호하고 포괄적인 예측 너머로 가기 위한 모든 시도가 지평선 밖의 시공간을 관측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시작부터 좌절될 수 있다...그래도 관측 가능한 우주가 존재하는 모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남아 있다. 지평선 밖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경험적으로 구현할 수는 없다 해도, 우리에게 있는 이론적 모형들이 상상하게 해주는 다양한 가능성은 우리 우주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방식에 영향을 끼치니까 말이다. 따라서 과학적 가설이 없다면, 다중우주는 철학적 선택으로 여겨지게 될 것이다.


...우리는 과학이 설명할 수 없는 것을 누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 한다. 과학은 문화와 사회적 계급의 장벽을 초월해 범세계적으로 공유되어야 하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가 찾은 최고의 방법이다. 그리고 지식과 진보, 민주주의를 대변할 수 있는 위대한 수단이기도 하다. 주머니 속에 진실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그렇지 않은 것을 확실하다고 전달하는 사람들, 권위나 권력, 폭력을 동원해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는 사람들이 설령 의미와 확실성을 필요로 하는 우리의 열망을 충족시켜주려 한다 해도, 우리는 이들을 의심해야 한다. 그리고 비교와 대화, 관찰,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존재의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주려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을 독려해야 한다. 우리는 인간과 인간을 탐구하고 이해하려는 타고난 욕구를 말살하는, 연민이 없는 견해들과 싸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