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롱해치의 우리 문화 숨은 그림 찾기
김유신 지음 / 봄나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해태'는


해님이 파견한 벼슬아치를 줄인 해치와


같은 말이라고 해요.


이 책은 메롱 하는 귀여운 모습의 해치와 함께


세시 풍속부터 아름다운 궁궐까지


다양한 우리 문화를 글과 그림으로


자세히 소개해 주는 책이랍니다.



초등 3학년 사회 책에 등장하는


'세시풍속'에 관해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책이에요.


그리고 다양한 전통문화를 보며


재미난 '숨은 그림 찾기'를 할 수 있어서


유아부터 초등 아이들까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요.



동글동글 귀여운 생김새가 인상적인


메롱 해치와 함께


조선 시대 때 도읍이었던 한양을 살펴봤어요.


그런데 당시 나라의 도읍을 어디로 정할지


의견이 분분한 때 '동전 던지기'로


한양이 조선의 도읍이 되었다고 해요.


그 방법은 참 엉뚱하지만 재미난 사실이네요!



또한 새해에 복을 가져오는 물건


'복조리'와 '복주머니'는


벽에 걸어 두어


나쁜 일은 거르고 복만 얻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데요.


글과 그림을 함께 볼 수 있으니


이해가 훨씬 더 잘 되는 것 같아요.



보름달이 뜨는 추석날 밤,


여인들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민속놀이 '강강술래'는


사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게


우리 군사가 많아 보이게 하려고


남장을 한 여인들이 원을 그리며 돌도록


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요.


이처럼 다양한 세시 풍속에 얽힌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어요. ^^



초4 아이는 오늘날의 학교처럼


과거의 '교육 기관'에 대해 궁금해했는데요.


당시 초등 교육 기간은 서당에서


중등 교육 기간은 향교에서


고등 교육 기간은 성균관에서


지금의 학생들처럼 공부를 할 수 있었다는


사실도 재미있었어요.



메롱 해치가 등장하는 네 컷 만화도


재미가 쏠쏠하네요!


책을 읽으며 초4 아이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도 많았지만


자세한 설명과 그림 덕분에


우리 문화에 대해 더 친근감을 느낄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