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롱해치의 우리 문화 숨은 그림 찾기
김유신 지음 / 봄나무 / 2023년 3월
평점 :
우리가 알고 있는 '해태'는
해님이 파견한 벼슬아치를 줄인 해치와
같은 말이라고 해요.
이 책은 메롱 하는 귀여운 모습의 해치와 함께
세시 풍속부터 아름다운 궁궐까지
다양한 우리 문화를 글과 그림으로
자세히 소개해 주는 책이랍니다.
초등 3학년 사회 책에 등장하는
'세시풍속'에 관해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책이에요.
그리고 다양한 전통문화를 보며
재미난 '숨은 그림 찾기'를 할 수 있어서
유아부터 초등 아이들까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요.

동글동글 귀여운 생김새가 인상적인
메롱 해치와 함께
조선 시대 때 도읍이었던 한양을 살펴봤어요.
그런데 당시 나라의 도읍을 어디로 정할지
의견이 분분한 때 '동전 던지기'로
한양이 조선의 도읍이 되었다고 해요.
그 방법은 참 엉뚱하지만 재미난 사실이네요!

또한 새해에 복을 가져오는 물건
'복조리'와 '복주머니'는
벽에 걸어 두어
나쁜 일은 거르고 복만 얻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데요.
글과 그림을 함께 볼 수 있으니
이해가 훨씬 더 잘 되는 것 같아요.

보름달이 뜨는 추석날 밤,
여인들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민속놀이 '강강술래'는
사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게
우리 군사가 많아 보이게 하려고
남장을 한 여인들이 원을 그리며 돌도록
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요.
이처럼 다양한 세시 풍속에 얽힌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어요. ^^

초4 아이는 오늘날의 학교처럼
과거의 '교육 기관'에 대해 궁금해했는데요.
당시 초등 교육 기간은 서당에서
중등 교육 기간은 향교에서
고등 교육 기간은 성균관에서
지금의 학생들처럼 공부를 할 수 있었다는
사실도 재미있었어요.
메롱 해치가 등장하는 네 컷 만화도
재미가 쏠쏠하네요!
책을 읽으며 초4 아이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도 많았지만
자세한 설명과 그림 덕분에
우리 문화에 대해 더 친근감을 느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