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일락 피면 - 10대의 선택에 관한 여덟 편의 이야기 ㅣ 창비청소년문학 4
최인석 외 지음, 원종찬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창비청소년문학 4 <라일락 피면 - 10대의 '선택에 관한 여덟 편의 이야기>
공선옥, 방미진, 성석제, 오수연, 오진원, 조은이, 최인석, 표명희 여덟명의 작가들이 청소년 10대의 '선택'이란 주제를 놓고 여덟편의 이야기를 꾸려놓았다.
이야기라지만 동화가 아닌 소설의 무게를 감당하고 있는 인물들과 만나야 한다.
고독하고 힘든 일상은 나의 길이 무엇인지? 묻고 또 물어도 희미한 모습으로 그렇게 떠돌게 한다.
학원과 성적 그리고 경쟁,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해 잠을 줄이고 자유를 억압하며 살고 있는 이 땅의 10대들에게 일류 대학 이외에 또 다른 선택이나 대안이 있을까?
이런 질문을 하면 안 되는 것일까?
똑같은 교복을 입고 똑같은 책으로 10년을 넘게 사육(?)되어 온 나와 우리 아이들.
하지만 삶의 갈피마다 똑같은 날은 없었고 그 날 그날 가슴 두근거림과 파닥거리는 우정이 숨쉬고 있음을 살아있는 몸을 가진 존재란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
그래, 그런 믿음으로 여전히 보이지 않는 소설의 길로 함께 가 보는 거다.
첫 장을 열면 작가 공선옥의 <라일락 피면>을 만나게 된다. 라일락 피면을 라일락꽃 피면으로 읽으면 어떤 느낌일까? 혼자 궁시렁 거리며 석진과 윤희의 만남을 작게 수줍게 피어나는 연애 감정을 기대했는데 .......핏빛 오월은 그 젊은 청춘들을 부끄러움과 염치아는 인간이란 이유로 죽음의 길을 가게 한다. 거대한 폭력 앞에 두 사람의 선택은 영화 <화려한 휴가>가 주지 못한 인물의 갈등과 날 것으로 다가오는 생생함(석진엄니의 걸죽한 사투리만큼)을 느끼게 한다.
오월 광주.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우리의 유산이자 우리가 넘어서야 할 또 하나의 경계인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실 나는 책을 읽을 때면 뒤에서부터 읽는 버릇이 있다. 아님 휙휙 건너뛰며 읽거나.
다시 차례를 펴서 오진원의 <굿바이, 메리 개리스마스>를 읽기로 했다.
가족이야기다. 입양도 아니고 남자 둘이 서로 가정을 이루고 사는데 대리모를 통해 아기를 낳아 키운다. 아빠는 폴이라는 네덜란드인이고 또 다른 아빠는 뜨개질을 하며 자기 안에 여자로 사는 아빠이다.
그런 아빠들 사이에 보린은 나름 당당하게 옹골차게 커 왔다. (이건 순전히 육감이다.)
맨발...... 당신들은 나를 업고 맨발로 뛸 수 있는 사람. 내 아픔과 함께해줄 수 있는 사람. 날 위해 대신 웃어줄 수 있는 사람이었다. 나는 발가벗겨지는 기분이 들었다. 사랑받는 것은 발가벗겨지는 일.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자신을 보여주는 일인지도 모른다고 나는 생각했다. 나는 눈을 감았다. 태양이 눈부셨기에. 나는 태아처럼 움츠러들었다.
(148면)
오진원은 1981년생이고 장편동화 <플로라의 비밀>을 썼다. 나는 오진원의 장편동화를 아주 재미나게 읽었다. 마지막 주인공의 죽음을 두고 여러 가지 생각이 떠올랐고, 동화라면 아이들에게 주는 이야기라면 죽음으로 내몰지는 않겠다는 생각을 여러 번 했었다.
굉장히 산뜻하고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온 작가였다.
이 작품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이 젊은 친구가 이다지도 사랑에 대해 속살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단 말인가? 또 한 번 놀랐다.
하지만 이 작품도 마지막 내 예감을 확 빗나가 버렸다. 예린의 선택이 아닌 폴의 선택이 전면으로 나왔다. 작가의 말이 불쑥 끼어든 느낌. 아주 낯설다. 이 때부터 작품은 변주되었고 나는 그 라인을 따라가지 못해 끝가지 읽어낼 수 없어 힘들었다.
나만 그럴까? 그래서 많이 아쉽다.
주인공 이름이 이렇게 찾기 어려워서야..... 일곱번째 이야기 최인석의 <쉰아홉 개의 이빨>의 한 줄 서평이다.
주인공은 순근이다. 별 어렵지도 않으면서. 주인공 이름 알아내느라 힘들었다. ㅋㅋㅋ
엄마가 재혼했다. 그리고 순근은 목사님 아들이 됐다. 내가 아는 목사님 아들은 개망나니(?)였는데......
엄마들의 선택이 좀 지혜로웠으면 좋겠는데. 엄마들은 늘 이 모양이야? 혼자 성질이 났다.
그런데 몽둥이를 휘두르는 주의 사자는 장목사라 불리는 양아버지로 순근이를 목사가 되라고 중국어를 시키고 의대를 가라고 강요한다. 날마다 식사 자리에서 기도를 인도하라는 명령과 함께.
쉰아홉개의 이빨을 가진 친아버지는 치은암으로 돌아가셨다. 다혈질의 아버지는 노조활동을 했고 그의 남자다움에 마음을 빼앗긴 엄마는 아버지와 결혼을 했다.
아직도 우리는 근대를 살아간다. 옆집 부부싸움에는 경찰도 못 말리고 성폭력과 성희롱은 은밀하게 남성의 팔을 들어주고 있다. 대부분 아버지들이 이런 폭력과 억압으로 가정을 다스린다.
거울 앞에 입을 벌리고 이빨을 세는 순근의 선택에 지지를 보낸다.
한 편으로 내 아이가 자라 이빨을 세어보라 하면 어쩌지? 하는 생각도 떠오른다.
나는, 우리는 어떤 부모인가?
수다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분명 아이들의 수다 속에 그들만의 문화와 생각이 동동 떠 다닌다.
뭔가 있다. 그게 뭐냐고? 방미진의 <영희가 O형을 선택한 이유>를 읽어보면 안다.
그들만의 언어와 상상력과 관계가 수다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가끔은 나도 그 수다 속에 친구처럼 천연덕스럽게 앉아 있고 싶다.
문학이 필요한 나이는 언제일까? 스무살 아니 서른 즈음일까?
아닐 것이다. 그 때는 펄펄 뛰는 심장과 혈기왕성한 몸이 문학의 자리를 대신 할 때가 아닐까?
마흔이 넘어 인생의 전환점을 돌 때, 그 때부터 문학은 좋은 길동무가 되는 건 아닐까?
성석제의 <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을 읽으니 이런 생각이 떠 올랐다.
멈춰서서 되돌아보기의 힘을 가진 문학, 소설이야말로 내 안에 가장 인간다운 소망스런 기운을 불어넣어준다. 그래서 이랬을거다. 앞으로 나의 삶은 ....... 다른 주인공 둘의 이야기 속에 삶이란 참 알 수 없는 또 다른 공간인 것을 느낀다.
그렇다면 소설이 곧 판타지란 말인가? 알쏭달쏭하다.
제일 따뜻한 느낌으로 읽은 것은 표명희의 <널 위해 준비했어>이다.
조은이의 <헤바>도 그렇지만..... 나는 따뜻한 사랑이야기가 좋다. 그런 영화만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왜냐고? 아이들이 살아 갈 이 세상은 그리 살만한 곳이 못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거짓말을 할 수도 없으니......
빔이 할리를 타고 앨리스를 만나러 간다.
섬진강 꽃길을 달리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아, 좋다.
유지태, 김지수, 엄지원이 주연한 영화 <가을로>의 마지막 장면이 오버랩 된다.
지수는 이렇게 적었다.
<여행을 하면서 우리는 '다시 살아갈 용기'를 얻지. 그것이 바로 여행이 주는 힘이니까.>
빔과 앨리스가 여행에서 돌아오면 그 아이들의 마음엔 살아갈 용기가 가득하길......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난 많은 이들, 아름다운 우리의 청춘들의 가슴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