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중근家 사람들 - 영웅의 숨겨진 가족이야기
정운현.정창현 지음 / 역사인 / 2017년 3월
평점 :
독립운동의 영웅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라고 하면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못하다.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권의 책도 출간되었지만 그의 가족들에 대해서는 그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책은 한국언론재단 역구이사를 역임한 정운현 씨와 건국대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는 정창현 교수가 안중근 의사를 비롯하여 안중근 의사의 일가가 3대에 걸쳐서 우리 근현대사에 남겼던 족적을 추적하여 기록한 것이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역에 내린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6발의 총을 발사했다. 그는 러시아 말로 “코레아 우라!(대한 만세)”를 세 차례 외쳤다. 그리고 곧 체포되어 재판을 받은 후 이듬해 3월 26일 뤼순감옥에서 사형 당했다.
거사를 하기 전에 안중근 의사는 울적한 마음을 달랠 겸해서 시 한 수를 지었다. “장부가 세상에 처함이여 그 뜻이 크도다. 때가 영웅을 만듦이여, 영웅이 때를 만드는도다. 천하를 내려다봄이여 어느 날 대업을 이룰꼬. 동풍이 점점 차가워짐이여, 장사의 의기 뜨겁도다. 분개하여 한번 감이여 반드시 목적을 이루리로다. 도적 이토여, 어찌 기꺼이 목숨을 비기겠는가. 어찌 이에 이를 줄 헤아렸으리요. 사세가 진실로 그러하도다. 동포 동포여, 빨리 대업을 이룰지어다. 만세 만세여, 대한독립이로다. 만세 만세여, 대한동포로다.”
김구 선생 집안은 사회적으로 대접받은 유일한 독립운동가 집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신과 가문의 안녕을 뒤로하고 항일투쟁의 길로 들어선 대다수 독립운동가의 후손은 뿔뿔이 흩어지고 집안은 몰락했다. 독립운동을 했다는 자부심만으로 가난의 벽을 넘기는 어려웠다. 당장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운 형편은 교육에까지 여력이 미치지 않았고 가난의 대물림은 3, 4대를 이어갔다. 하지만 어디에도 정부의 손길은 없었다. 어렵게 사는 후손에 대한 실태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안중근 의사의 일가도 예외가 아니었다. 안중근 의사의 의거 이후 그의 일가에 가해진 일제의 감시와 탄압은 가혹했다. 두 저자는 안중근 의사가 세상을 떠난 후 독립운동에 뛰어든 안태건, 안태순 등 안 의사의 숙부를 비롯해 모친과 친동생 안정근, 안공근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추적하여 우리에게 알려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반일독립운동에 투신했으면서도 광복된 조국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다시 북으로, 미국으로, 파나마로 흩어져 소식조차 끊긴 안중근 의사의 후손들에게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들이 해방된 조국 땅에서 행복을 누리면서 살아야 하는데, 지금도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데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누리면서 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인간 안중근’의 면모와 안중근 일가가 남긴 위국헌신의 정신을 살펴볼 수 있었다. 대통령 후보는 물론 국민이라면 누구나 꼭 읽어보아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