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구조론 - 아름다운 지구를 보는 새로운 눈
김경렬 지음 / 생각의힘 / 2015년 4월
평점 :
지구는 단 하나밖에 없는 우리들의 삶의 터전이다. 인간은 지구환경 속에서 상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자원의 지나친 개발과 소비,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지구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환경오염은 생물의 다양성을 해치며 결국 인류에게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나는 인공위성에서 찍은 지구 사진을 접하고 나서 지구의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아니할 수 없었다. 멀리서 바라본 푸른 행성 지구는 물과 대륙이 적절히 뒤섞인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한다. 우주에서 지구를 볼 수 있는 특권은 옛 선조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오늘날을 사는 우리들만의 것이다.
이 책은 현재 GIST 대학에서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김경렬 박사가 판구조론이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우리에게까지 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렇게 성립된 판구조론이 지구를 보는 우리들의 눈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알려준다.
‘판구조론’이란 지구표면은 여러 개의 굳은 판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판이 변형 내지는 서로 수평운동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둔 이론을 말한다. 판구조론이 확립된 것은 불과 50여 년 전이지만, 그 뿌리는 14세기 ‘대양 탐험의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항해를 통해 만들어진 세계지도를 보며 사람들은 해안선이 유사한 아프리카와 남미가 한때 붙어 있던 것은 아닐까라는 소박한 의문을 가졌다. 이후 19세기 들어 지층 구조와 화석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고, 20세기에 지구물리학과 바다의 탐사 등 실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들이 모아지면서 마침내 1960년대에 판구조론이 완성되게 되었다.
이 책은 지구의 모습이 지구 역사를 통해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문 내용이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지구가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져있고, 지각이 이동하면서 지구의 지각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을 알려준다. 또한 해양판이 다른 해양판과 부딪치면서 지진을 일으키고, 마그마를 만들어 화산이 분출되기도 한다.
오늘날 우리의 위치를 족집게처럼 알려주는 GPS는 판의 움직임을 보여 주는 첨단과학 장비로서 훌륭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저자는 “지구과학자들을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지구물리학자들이 얻은 지진의 분포도와 해양학자들이 얻은 해저 지형도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결코 우연이라고 할 수 없는 어떤 깊은 연계성이 있는 것 같았다.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이 바로 ‘바다 밑 해저 산맥이나 깊은 해구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던 것이다.”(p.22) 라고 말했다.
생물학에 진화론이 있다면 지질학에는 판구조론이 있다. 과거 지질학자들이 펼쳐낸 한편의 드라마 같은 이야기를 통해 내가 살고 있고, 살아가야 할 지구의 비밀을 엿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면서 지구에 대해서 공부를 했지만 어렵게 생각되어 거의 졸기만 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사진설명을 보면서 판구조론 덕분에 지구의 모습을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아름다운 지구를 더욱 아끼고 가꾸고 사랑하며, 더욱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