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병 -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
시모주 아키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살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 속하게 된다. 혈연이라는 끈끈한 줄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우리를 하나로 묶는다. ‘가족이란 언제나 화목하고 희생과 이타주의만이 존재하는 이미지로 그려진다. 훌륭한 아버지와 희생적인 어머니 그리고 자랑스러운 자식들, 이런 완벽한 가족의 모습은 아무런 과학적인 근거도 없이 오랫동안 사람들 사이에서 이어져 내려와 이제는 확신이 되어 버린 관념이 되었다.

 

가족이란 무엇인가? 라고 물으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가족이란 사회의 기본 구성단위이다.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게 되면서 만든 가장 기본적인 조직이라는 뜻이다.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가족이라는 기본단위를 바탕으로 해서 보다 복잡한 조직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 말은 인류사회에 있어서 가족 집단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가족의 구성과 형태가 사회마다 다르다는 점이다.

 

이 책은 NHK 아나운서 출신으로 일본의 작가·평론가·수필가인 시모주 아키코가 개인사뿐만 아니라 저명인사, 친구 등 우리 주위에 있을 법한, 또 실제 독자들이 겪고 있는 가족 내 문제점들을 사례로 들어 가족이라는 병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자신의 가족은 깨졌다고 고백한다. 군 장교였던 아버지는 패전에도 불구하고 재무부 요직에 앉았다가 전범책임론으로 추방된 후 분노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폭력가장이 된다. 군인의 딸이라는 이유로 재일조선인 학생들의 표적이 되기도 했던 그녀가 목격한 가족의 파국은 아버지와 중학생 오빠의 싸움. 서로 죽이려고 덤벼들던 둘을 말리려 한 어머니는 아버지의 손찌검에 고막이 터지고 오빠는 도쿄로 떠나고 만다.

 

그녀가 더욱 용서할 수 없었던 아버지는 전범으로서 반성할 줄 모르고 예전으로 돌아간 모습이었다. 그녀 역시 집을 떠나고 가정은 무너져 내린다. 그녀의 화살은 아버지를 지속적으로 보필하는 어머니에게로 향하기도 한다. 긴 세월 그녀에게 가족은 무엇이었을까. 팔순을 앞둔 그녀는 가족들이 모두 세상을 떠난 자리에서 되묻는다. 그녀는 가족의 단란함은 가면일 뿐이라며, 정작 가족들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묻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가족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자문해 본다. 어렸을 적에는 할머니와 부모님, 그리고 동생들이 함께 살았다. 그러나 결혼 이후 도시에서 살다가 보니 가족들과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다.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전화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이들이 조차도 집에 오기만 하면 방에 들어가서 스마트폰으로 자기볼일만 본다. 가족이라고 하지만 서로 소통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행가 노래 중에 님이라는 글자에 점하나를 찍으면 도로 남이 되는 장난 같은 인생사라는 가사가 있다. 가족도 남이 되는 것은 순간이다. 가족은 이래야 한다는 당위와 가족이기 때문에 다 안다고 생각하는 선입견이 겹치면서 가족 간에 상처를 주고 상처받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런 모습을 가족이라는 병으로 이름 짓는다. 그녀가 보는 가족의 현실은 대부분 가족은 늘 살얼음판을 디디면서 위태롭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족을 구할 방도는 무엇인가. 바로 가족에 매이지 않는 것이다. 서로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