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뻔한 지성들의 르네상스 - 편안하고 재미있게 읽는 지식교양서
보헤미안 지음 / 베프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금융시스템은 IMF이후 선진금융 운운하며 도리어 반대로 갔다. 그래서 심각한 양극화를 초래했다. 금융기관이 돈이 있는 사람의 돈을 받아 부풀려주는 영업을 하고, 중소기업에게는 위험부담이 크다며 대출자체를 봉쇄해 버린 이 상황을 선진금융이고 금융개혁이라고 외쳤던 것이다.

 

금융이라고 해서 반드시 채권자와 채무자가 있어야 한다는 법은 없다. 채권자와 채무자는 하나의 파트너십을 맺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나아갈 수 있다. 원래 금융이라는 것도 고객과 위험을 공유하고 수익을 나누는 것이다. 이는 이슬람뿐만 아니라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에서도 신봉된 가치였다. ‘돈이 돈을 번다.’라는 진리 속에는 우리가 당연시해왔던 것들의 문제점이 들어 있다.

 

이 책은 블로그 월평균 방문자 수 15만 명, 시사·인문·경제 부문 화제의 블로그 뻔지르운영자 보헤미안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어렵게만 보이는 시사와 경제, 역사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는 것은 물론, 우리가 착각하기 쉬운 혹은 잘못 알고 있는 시사 상식들을 바로 잡아준다. 어려운 용어를 남발하지 않아 편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시사, 경제, 역사 분야에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나 뉴스 기사는 꼬박꼬박 보면서도 비판적 사고 없이 받아들이는 분들에게 특히 권하고 싶다.

 

이 책에서 저자는 살다보면 우리도 모르게 당연시하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그 어떤 것도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는 없다. 각 개인마다 생각하는 바가 다르고 가지고 있는 신념도 다르기에 하나의 법칙으로 사람의 일을 판단하는 것에는 항상 주의해야 한다.”(p.12)고 말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관심을 두었던 부분이 <종교인 과세>였다. 종교인의 과세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7년 전인 2006년부터 논쟁이 있었다. 대부분의 종교인들은 이미 성실하게 세금을 내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2장 제111항과 2항은 법 앞에서 모든 국민이 평등하고, 우리나라는 사회적 특수계급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같은 장 제38조는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교인만이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는 것은 국민으로서 당연히 감당해야 할 4대의무 중 하나인 조세의 의무를 포기하겠다는 논리다.

 

우리는 종교인 과세를 생각하기 이전에 먼저 종교가 현재 우리 사회에서 어떤 좋은 영향을 미치고 또 사회의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종교단체 건물이 몇 백 억을 넘어가고, 지하철이 자기 종교단체 건물을 통과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고, 카페와 같은 수익사업을 하면서 돈벌이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종교인 과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우리나라의 종교가 제대로 된 종교로 자리 잡고 있는가 생각해 봐야 한다.

 

이 책은 각 주제마다 핵심을 짚어주므로 궁금했던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시사, 역사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했던 나로서는 이 책이 큰 도움이 되었다. 누구나 이 책을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다 보면, 시사를 보는 눈이 열리고 새로운 관심과 흥미가 솟구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