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KBS 1TV 대하사극 징비록을 빠지지 않고 보고 있다. ‘징비록은 임진왜란이라는 조선 최악의 국난. 난세 속에서도 나라와 백성을 지키고자 했던 혁신 리더 류성룡이 임진왜란 7년을 온몸으로 겪은 뒤, 국가 위기관리 노하우와 실리 위주의 국정 철학을 집대성하여 미리 나라를 강하게 만들어 환란을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후세에 전하고자 집필한 동명의 저서를 바탕으로 하는 대하사극이다. 드라마를 보다가 전체 내용이 궁금하여 <징비록>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조선 중기의 정치가학자로 25세에 문과 급제 후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체찰사에 임명되어 당쟁과 전란 속의 군무를 총괄했으며 이순신과 권율을 천거했고, 국방안보 체제 확립을 위해 훈련도감을 설치해 군비를 강화하고, 인재 양성에도 힘쓴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회고하고 반성해 뒷날의 근심이 없도록 삼가 하고자 쓴 아픈 역사에 대한 피눈물의 기록을 담았다.

 

특히 철학, 역사학, 한문학, 일본학을 전공한 오세진, 신재훈, 박희정 등이 고전 <징비록>을 누구나 읽고 쉽게 이해하도록 현대 언어로 풀어쓰고 편집했다. ‘징비시경에서 따온 말로 지난 일을 경계하여 후환을 대비한다는 뜻이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저술된 징비록은 조선시대 최고의 기록문학으로 평가받는다.

 

류성룡은 이 책을 통해 참혹했던 임진왜란의 경위를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선과 일본, 명나라 사이의 밀고 당기는 외교전, 전란으로 인한 백성의 피폐한 생활상, 전쟁에 나섰던 숱한 인물들의 처절한 활약상을 숨김없이 알려준다. 그리고 민족적 재앙에도 불구하고 미리 대비하지 못한 무능한 왕조와 전쟁 중에도 동인과 서인으로 당파싸움을 멈추지 않은 용렬한 벼슬아치들 등 당시 정치사회 상황까지 고발한다.

 

나는 그동안 류성룡이란 인물에 대해 잘 몰랐었다. 이 책을 읽고 이렇게 위대하고 진실한, 나라를 위해 사심 없이 임금에게 참 말을 할 수 있었던 인물이 조선시대에 존재했었다니 그동안 잘 모르고 지나왔던 나의 무지가 참으로 부끄러웠다.

 

오늘날 이 시대에도 류성룡과 같은 인물이 우리나라에 있다면 정치가 이렇게 혼탁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임진왜란이 일어난 원인이 정치적 분당의 발생과 붕당 정치의 심화, 그리고 통신사로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만나고 돌아온 동인 김성일과 서인 황윤길의 의견이 대립으로 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여야 정쟁이야 말로 망국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사실에 마음이 아프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내가 책의 주인공으로 착각을 하게끔 재미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의 임금과 신하들, 그리고 백성들의 무지와 자신들만의 배만 채우고자 하는 그들의 행동을 보면서 나 자신이 그때 태어났더라면 어떻게 살았을까를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