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찾아서 - 뇌과학의 살아있는 역사 에릭 캔델 자서전
에릭 R. 캔델 지음, 전대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고령화 시대, 치매는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15분마다 1명씩 늘어나는 치매 환자는 나의 미래가 될 수 있다. 나는 <기억을 찾아서>라는 제목을 보고 치매 환자가 기억을 찾는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치매에 대해 관심이 있는 터라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동물보다 높은 지능일까,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윤리의식일까. 둘 다 답이 될 수는 있지만, 최상의 대답은 아닐 수 있다. 과거를 바라보게 하고 그것으로 미래를 예측하게 하며 인류의 역사를 지켜주는 것, 바로 기억이 아닐까.

 

2000년 한림원이 발표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에게는 수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다. 바다달팽이를 실험동물로 삼아 뇌에 기억이 저장되는 신경학 메커니즘을 규명한 에릭 캔들. 치매와 기억상실 치료의 길을 열었다는 대중적 관심에 더해 분석 불가로 여겨져 온 기억 메커니즘을 밝혀낸 수상자인 유대인 과학자의 개인사가 회자됐었다.

 

이 책은 세계적 신경과학자이며,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있는 에릭 캔델의 자서전으로 뇌에 기억이 저장되는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다.

 

에릭 캔델은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나치의 홀로코스트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과학자이며, 하버드대에서 역사와 문학을 공부하던 중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빠져 뉴욕대 의대에서 의사의 길을 걷다가 사람 정신과 기억의 근원을 파헤치기 위해 과학자로 돌아선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에릭 캔델은 193811월 나치 경찰관들이 찾아와 문을 쾅쾅 두드리던 소리를 아직도 기억한다. 아홉 살 때였다. 나치 경찰관들은 당장 짐을 꾸려 떠나라고 명령했다. 열흘 뒤 돌아온 집은 엉망진창이었고, 값진 물건은 하나도 남김없이 모두 없어졌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보낸 마지막 해에 겪은 충격과 공포는 불도장처럼 소년의 뇌에 새겨졌다.

 

저자는 말하기를 기억은 우리 삶에 연속성을 제공한다. 기억은 과거에 대한 정합적인 상을 제공하고, 그 상은 현재의 경험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그 상은 불합리하거나 부정확할 수도 있지만 존속한다. 기억의 결합력이 없다면, 경험은 살아가는 동안 만나는 무수한 순간들만큼 많은 조각들로 산산이 부서질 것이다. 기억이 제공하는 정신적 시간 여행이 없다면, 우리는 우리의 개인사를 알지 못할 것이며, 우리 삶의 찬란한 이정표로 작용하는 기쁨의 순간들을 회상할 길이 없을 것이다. 우리가 우리인 것은 우리가 배우고 기억하는 것들 때문이다.”(p.29)라고 했다.

 

이 책은 캔델의 연구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차이, 신경세포 간의 연결인 시냅스를 통해 기억이 어떻게 저장되는지 등을 설명한다. 생소한 과학용어들은 히틀러 치하 오스트리아 빈에서 유대인으로서 겪은 공포, 그 공포를 계기로 기억을 화두로 삼은 어린 시절, 미국으로 건너가 전도유망한 과학자로 거듭난 과정, 노벨상 발표 순간의 기분 등 캔델의 인생 스토리가 더해지며 편안하고 공감 가는 이야기로 풀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