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대망론
이성민 지음 / 강단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지금 우리나라는 정치인들마다 자기가 차기 대권후보라고 떠들어대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은 별 관심이 없다. 지난 대선에서는 안철수에 대해서 큰 기대를 가졌으나 금방 실망하고 말았다. 때묻지 않은 사람, 새정치를 하겠다고 했지만 헌 정치를 하는 것을 보고 국민들은 등을 돌리고 말았다.

 

내가 봐도 정치인들은 말은 잘하는데 금방 지키지도 못하고 변명만 일삼는다. 그러니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지도자를 기다린다. 이제 차세대 정치 리더에게 가장 요구되는 덕목이라고 하면 신뢰가 아닐까 쉽다. 여야를 막론하고 한번 약속하면 꼭 지키는 약속의 정치인을 필요로 한다.

 

현 정치인들에게 실망한 국민들은 새로운 정치지도자가 나타나기를 꿈꾼다. 바로 이런 때에 내가 읽은 책은 <반기문 대망론>이었다.

 

이 책은 KBS 이성민 아나운서가 쓴 책으로 반기문 대망론이 대세론으로 번져나갈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에 왜 반기문이 필요한지를 팩트를 중심으로 담은 것이다.

 

우리는 TV 방송을 통해 국내 언론들이 반기문 총창의 대선후보 출마 가능성을 보도한 것을 봤다. 보도의 근원지는 새정치민주연합 권노갑 상임고문. 언론은 앞다투어 권 고문의 발언을 통해 반기문 총장의 대선 출마문제를 보도했고, 여야를 막론하고 영입가능성을 거론하였다. 그러나 반기문 전문가인 저자는 이 문제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한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차기 대선후보로 선두에 나섰다. ·야할 것 없이 골고루 지지를 받는다는 점도 특이하다. 반기문 총장을 선택하는 데는 어떤 이데올로기가 작동할까? 안철수를 선택했을 때처럼 온화한 리더십을 원하는 대중들의 마음의 반영이다. 다양한 국제 현안을 조정하는 직무와 연관된 조정자의 이미지도 한 몫 한다. 독립적인 권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권력지향의 한국 사회에서 사무총장직은 세계의 대통령이라는 권력 개념으로 착각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유권자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은 다른 데 있다. 마지막 선택의 순간에 갈등의 중재자를 찾지 않고 갈등의 제압자를 찾는다는 점을 숨기고 살아간다.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제압자를 찾는 일이 부끄러운 줄 알기 때문에 여론 형성 과정에서는 조정자를 찾는 척하고 밀폐된 투표실에서는 제압자에게 투표한다.

 

국내 언론들은 차기 대선 후보 출마자로 반기문 총장이 가장 유력하다고 언급하는데 대해 저자는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에 차세대 지도자는 어떤 역량과 리더십을 갖춰야 할지 제시하면서 반기문 총장을 제대로 점검해 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반기문 대망론의 실체가 무엇인지, 어떻게 전개될지, 점화시기가 적기인지, 출마와 재야 중 어느 쪽이 국익에 도움이 될지 독자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