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A학생은 C학생 밑에서 일하게 되는가 그리고 왜 B학생은 공무원이 되는가 - 부자 아빠가 들려주는 자녀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법 ㅣ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인 / 2014년 9월
평점 :
오래 전에 읽은 책 가운데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라는 책이 있다. 그 책에서는 ‘부자들이 알고 있는 것을 학교에서는 가르치지 않는다’고 한다. 부자들이 따르는 돈의 규칙이 따로 있고, 부자가 아닌 사람들이 따르는 돈의 규칙이 따로 있다.
가난한 아버지는 “돈을 좋아하는 것은 모든 악의 근원이다.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직장을 구해야 한다. 돈은 안전하게 사용하고 위험은 피해라. 똑똑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부자 아버지는 “돈이 부족한 것은 모든 악의 근원이다.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회사를 차려야 한다. 무엇보다 위험을 관리하는 법을 배우라. 네가 똑똑한 사람을 고용해야 한다.”고 한 말이 기억난다.
이 책은 재테크 분야 고전으로 손꼽히는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시리즈를 통해 전 세계 수천만 사람들의 돈에 대한 인식을 바꿔 놓았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현재의 금융 위기가 돈을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하고 금융지식에 대해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는 학교 교육에서 기인했다고 지적하며 자녀를 현실 세계에 대비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나는 이 책처럼 제목이 긴 것을 보지 못했다. 이 책의 제목에서 말하는 A학생은 학자형, B학생은 관료형, C학생은 자본가형을 뜻한다. 저자는 지금의 미국의 교육 내용으로는, 학교에서 뛰어난 성적을 받는 A학생(학자형)이 나중에 커서 결국 C학생(자본가형) 밑에서 일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또 B학생(관료형)은 공무원이 되기 마련인데 그 이유 역시 가정과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금융 교육을 시키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저자에 따르면, 현재 제도권 학교는 아이들을 조직의 일원이 되도록 훈련시키는 데 주력할 뿐, 빠르게 변하는 현실 세계에 필요한 금융 교육은 시키지 않는다. 설문 조사를 봐도, 미국 학생의 84%가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부모 91%가 자녀에게 재정적 책임감을 가르치고 싶어하지만 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은 늘어나는 학자금 융자의 빚에 시달리거나, 대학원에 진학해 점점 줄어드는 고임금 일자리를 찾아 헤맨다.
저자에 따르면, 현재 제도권 학교는 아이들을 조직의 일원이 되도록 훈련시키는 데 주력할 뿐, 빠르게 변하는 현실 세계에 필요한 금융 교육은 시키지 않는다. 설문 조사를 봐도, 미국 학생의 84%가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부모 91%가 자녀에게 재정적 책임감을 가르치고 싶어하지만 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은 늘어나는 학자금 융자의 빚에 시달리거나, 대학원에 진학해 점점 줄어드는 고임금 일자리를 찾아 헤맨다.
저자는 어느 회사에 들어가서 월급쟁이 노릇을 하는 게 꿈이 아니라면, 스스로 돈과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C학생이 되라고 조언한다. 사업가이자 투자자인 C학생은 재정적인 자유를 누릴 수 있다. 그뿐 아니다. 정부가 원하는 일자리를 창출하기 때문에 합법적인 방법으로 소득에 비해 세금도 적게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한다.
부자가 되기를 바란다면 돈에 대한 시각부터 바꿔야 한다. 점점 돈의 가치는 중요해진다. 돈 얘기를 하면 물질만능주의자쯤으로 치부해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돈의 중요성을 얘기하는 것뿐인데도 돈이 인생의 전부라고 말하는 줄 착각하는가보다. 사실 그렇게 얘기하는 그 사람도 돈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직업과 직종을 떠나 현실 금융에 대한 기초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