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 자본론 - 욕망의 눈으로 마르크스 자본론 다시 읽기
신승철 지음 / 알렙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끊임없이 잉태되는 욕망은 인격적 자아의 욕망이 아니라 비인격적 속성을 가진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욕망이란 자아 속에 숨은 자본의 욕망이다. 자본주의적 생산은 자본의 욕망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이다. 자본의 욕망이 추동하는 생산은 인격적 자아를 알지 못하고, 이와 무관하게 무엇인가를 영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하려는 의지의 발현이다. 인간의 삶은 욕망하는 생산의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 될 뿐이다. 인간 자아는 생산 과정에 주체로서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담지자로서 역할한다.

 

자본주의를 굴러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끊임없이 계속되는 경제성장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경제성장의 속도가 더뎌지고 자원 고갈 및 생태계 위기가 심각하다는 징후가 나타나면서 진보적인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대안적인 전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2011년 동물보호 무크지 []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했고, 2012년에는 녹색당 생명권 정책의 초안을 썼으며, 현재 동국대, 한성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고, 철학공방 [별난] 공동 대표, 생태문화협동조합 [달공] 준비위원, 카라 소속 동물사랑도서관 아카이브 위원, 가톨릭 생명윤리연구소 전문 연구위원, 경희대 약학대학과 식약처 실험동물윤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승철이 소수자와 생명 등이 어떻게 자본주의 가치 질서에 들어와 있으며 공동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서술한 경제 철학 비평서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본주의 사회구조를 분석하는 텍스트인 자본론에 사랑과 욕망의 가치를 더해야 한다는, 다소 색다른 제안을 펼친다. 다분히 감성적인 이 단어가 어떻게 이 복잡한 사회 정치 경제를 분석하는 틀이 될 수 있다는 뜻일까? 경제적으로는 더 풍요로워졌으나 공동체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는 이유를 추적하던 저자는 역설적으로 욕망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여기서 욕망은 권력 제도 합리 이성 노동 남성 등 다수자의 반대쪽에 있는 여성 아이 동물 사랑 감성 등 소수자를 포괄한다.

 

저자에 따르면 자본주의 체제는 성인·자국민·남성·정상인의 욕망만이 생산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그들의 욕망은 대체로 텔레비전, , 담배, 게임, 인터넷, 도박 등 외부에서 주어지는 수동적이고 정형화된 것에 불과하다. 저자는 프랑스 철학자 펠릭스 가타리의 이론을 빌려와 욕망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한다. 무언가를 공격하고 장악하려는 에너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소수자의 욕망은 공동체 경제와 생태주의에 친화적이다.

 

이 책은 모두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욕망인가? 노동인가?’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앙티 오이디푸스천 개의 고원이라는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시리즈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욕망이라는 차원을 도입한다. 2지금, 기본소득이 필요한 까닭에서는 성장이 아닌 발전 노선에서 필요한 욕망가치론을 제기한다. 3욕망은 상품 물신성을 어떻게 보는가?’에서는 자본주의의 상품과 공동체의 선물을 구분하면서 상품 물신주의의 기원을 탐색한다. 4욕망의 정치경제학은 가능한가?’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함께 쓴 개념인 욕망하는 기계를 통해서 네트워크와 같이 작동하는 공동체 경제를 사고한다. 5욕망과 기호의 경제에서는 가타리의 흐름으로서의 도표와 고정관념으로서의 기표 간의 대결, 환상의 수다스러움과 사랑의 수다스러움의 대결이 그려진다. 6욕망 자본론은 자본론의 외부가 바로 욕망이었음을 적시하면서, 욕망 자본론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장이다. 통합된 세계 자본주의와 풀뿌리 공동체 간의 생활에서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어디를 가든 아파트, 육식, TV, 자동차와 같은 통속적 삶을 유지하고, 자본이 지나간 곳에 백화점, 마트, 편의점, 호텔 등이 자리잡는 것을 보여준다.

 

저자는 이 세계 자본주의의 성장주의를 넘어 발전노선을 제안한다. 배제와 차별을 넘어, 어떤 소수자도 포기하지 않고 소수자들의 특이한 욕망을 관계망과 공동체 성숙의 도구로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즉 소수자의 욕망가치가 생태적 지혜와 집단 지성의 원천이 되어 사회적 의미를 갖고 존중받는 사회다.

 

자본주의에 대해서 자세히 알기를 원하는 분들에게 이 책은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욕망 자본론에 대해 분명한 해답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